동종이식된 무릎 반월연골판에서 연골보호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을지대학교병원은 정형외과 이효열 교수팀(교신저자 서울아산병원 빈성일 교수)이 양적 MRI를 활용한 신기술을 적용해 무릎 반월연골판 동종이식술이 연골보호 효과가 있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증명해냈다고 20일 밝혔다. 이 교수는 반월연골판 동종이식술을 받은 환자 총 105명을 대상으로 수술 전과 수술 후 평균 3.2년이 지난 후 관절연골의 상태를 양적 MRI 촬영 기법(T2 mapping)을 통해 평가했다. 양적 MRI는 일반 MRI와 다른 특수한 촬영 방법으로, MRI의 신호를 수치화해 조직의 질을 평가해 주는 기술로, 일반 MRI에서는 단순히 조직의 구조·모양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반면, 양적 MRI로는 조직의 질까지 평가할 수 있다. 연구결과. 대퇴 관절의 중간 체중 부하 영역(F2)과 경골 관절의 후방 체중 부하 영역(TP3)의 전체 층과 대퇴과의 후방 체중 부하 영역(F3)의 표면층에서 확연히 개선된 모습을 보였다. 또한, 무릎관절 기능점수는 평균 66.5점에서 89.3점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했고, 환자의 96.2%는 스스로가 수술 후 만족한다고 평가했다. 이 교수는 “이번 연구
봄맞이 대청소로 집안 곳곳에 쌓인 묵은 때를 말끔히 제거하면 몸도 마음도 상쾌해지기 마련이지만 평소 가사보다 과중한 육체적 노동이 필요하다. 구석구석 쓸고 닦는 청소를 반복하다 보면 관절에 무리가 갈 수밖에 없다. 봄 청소에 앞서 관절 부담을 줄이는 요령을 알아두자. - 걸레질, 무릎에 자극 줄이는 노력 필요 좌식생활을 하는 우리나라의 청소는 걸레질이 필수다. 쪼그려 앉거나 무릎을 꿇고 장시간 바닥이나 구석구석 낀 먼지를 닦아내는 경우 무릎에 생기는 통증을 주의해야 한다. 무릎을 바닥에 대고 엎드리는 자세는 무릎 앞쪽의 슬개골에 과도하게 압력이 가해지고, 쪼그려 앉은 자세는 무릎이 구부러진 각도가 커지고 큰 하중이 가해진다. 실제 걸레질 후 슬개골 바로 아래쪽에 통증이나 불편감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슬관절 전방 통증 증후군으로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운동에 의해 생기는데, 제때 잘 치료하지 않으면 퇴행성 관절염으로 진행된다. 강북힘찬병원 정형외과 권태윤 원장은 “슬관절 전방 통증 증후군은 일종의 염증 반응으로 의학적으로 ‘연골이 부었다’, ‘염증 반응이 있다’고 표현한다”라며 “무릎이 쉽게 아프고 예민해지거나 계단을 오르내리는데 불편감을 느낀다면 외부 자극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