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대병원에서 고령의 응급환자가 고난이도 응급수술인 상행대동맥 및 전 대동맥궁 치환수술을 받고 건강히 퇴원했다. 울산대병원 흉부외과 김관식, 정종필 교수 수술팀이 최근 95세 고령환자를 대상으로 파열된 대동맥을 제거하고 인공 혈관으로 바꿔주는 대동맥 인공 혈관 치환술에 성공했다. 환자(여·95세)는 지난 9월 갑작스러운 가슴과 등 통증을 호소하며 울산대병원 응급의료센터로 내원했다. 검사 결과 상행대동맥박리와 이로 인한 혈심낭소견이 보였다. 특히 환자는 파열된 대동맥에서 나온 혈액으로 심장이 압박되는 상황으로 심박출량이 감소해 맥박과 혈압이 저하되는 상태였다. 흉부외과 심장외과팀은 응급실에서 즉시 응급 심낭천자술을 시행 후 수술실로 이동해 대동맥치환수술을 시행했다. 대동맥 혈관의 내막이 찢어져서 생기는 급성 대동맥 박리증은 Type A와 Type B로 나뉘는데, 특히 상행대동맥을 침범한 Type A형은 즉시 치료가 이뤄지지 않으면 1주일이내 90% 이상의 환자가 사망하며, 혈심낭이나 혈흉이 발생하면 대부분 환자가 쇼크나 심근경색 또는 뇌경색 등으로 사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수술적 치료도 사망률이 20~30%에 달하는 고난이도 수술로 알려져 있다. 의료진
최근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확대됨에 따라, 자신이 백신접종을 받아도 괜찮을 지 궁금한 사람도 늘고 있다. 특히 고위험수술에 속하는 심장수술을 받은 환자는 자세한 정보를 얻기 위해 외래를 찾는 경우도 많다. 흉부외과 전문의와 함께 심장수술 후 백신접종에 대한 정보를 알아본다. 아래는 서울대학교병원운영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흉부외과 최재성 교수의 기고 일문일답. ◇심장수술 받았는데 코로나19 백신 맞아도 되나? 최근 외래 진료 시 환자분께 가장 많이 받는 질문 중 하나다. 결론부터 말하면, 심장수술을 했다는 이유로 백신을 못 맞을 이유는 전혀 없다. 오히려 더 적극적으로 접종해야 한다. 다만, 이미 잘 아시는 바와 같이 전체적인 안전성을 백퍼센트 보장할 수는 없기 때문에 몇 가지 주의해야할 사항은 있다. 불행히도, 현재 코로나19 백신은 종류에 관계없이 접종 후 사망 사례가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한 문헌에 의하면, 인구 백만 명 당 8명 정도의 백신접종 사망률(시설에서 생활하는 노인들의 경우는 53명)을 보이며 치매, 만성폐쇄성폐질환, 당뇨, 심부전 등의 기저질환이 사망과 연관성이 있었다.이러한 사망소식이나 하반신 마비 등의 뉴스가 심심치 않게 나오면서, 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