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두드러기에 대한 궁금증이 풀렸다
여름철 더 심해지는 만성 두드러기 환자의 평균 치료기간, 완치율, 재발률, 완치 예측인자, 재발 위험요인을 규명한 연구가 국내 최초로 발표됐다. 두드러기는 전체 인구 5명 중 1명이 일생에 한번 경험하는 흔한 질환으로, 음식 또는 약제 등 뚜렷한 원인을 알 수 있는 급성 두드러기와 원인을 알 수 없이 수개월에서 수년 이상 지속되는 만성 두드러기가 있다. 두드러기가 생명을 위협하지는 않지만, 만성 두드러기의 경우 심한 가려움증에 계속 시달리다 보니 삶의 질 수준이 ‘수술을 앞둔 심혈관질환자’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날 정도로 괴로운 질환이다. 아주대병원 알레르기내과 예영민 교수팀은 1997년부터 2017년까지 21년간 약 2000명의 만성 두드러기 환자를 추적 관찰했다. 대상자는 아주대병원에 ‘두드러기’로 등록된 9256명의 환자 중 만성 두드러기 선별 알고리즘을 적용해 선별했다. 연구팀은 치료 초기 3개월의 치료제(약물 처방) 점수를 기준으로 ▲낮은 약물점수 그룹(1) ▲조금 높았다가 낮아지는 그룹(2) ▲중간 단계 유지 그룹(3) ▲계속 상승하는 그룹(4) 총 4개 그룹으로 나눠 분석했다. 그 결과 진단을 위한 검사 중 ▲총 lgE 항체 수치가 높을수록 ▲연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