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 장애인 구강건강을 지키기 위한 장애인 치과주치의 교육이 개최됐다. 보건복지부는 오는 2월 28일부터 시행될 장애인 치과주치의 시범사업 전국 확대 준비를 위해 4일에 대한치과의사협회 대강당에서 국립재활원(중앙장애인보건의료센터)·대한치과의사협회와 함께 장애인 치과주치의 대면교육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장애인 치과주치의 시범사업은 구강건강관리가 필요한 장애인에게 치과주치의가 예방적 진료와 구강보건교육 등 포괄적 구강관리서비스를 제공해 장애인의 구강건강을 증진하기 위한 사업으로, 그동안 일부 지역(부산, 대구 남구, 제주 제주시)에 한해 시행되고 있었으나 올해 2월 28일부터 전국으로 확대 시행될 예정이다. 그간의 시범사업 결과, 참여환자 중 36.8%가 구강 내 건강(우식치, 손상치, 통증 등) 개선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치석제거 이용 횟수가 시범사업 참여 전 대비 평균 1.5회 증가하는 등 치과 의료접근성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참여 장애인 대상 만족도 조사 결과 응답자의 87%가 지속 참여 의향이 있다고 답변한 바 있다. 이에 이번 교육은 전국의 치과의사를 대상으로 시범사업 참여를 독려하고, 장애인 구강관리서비스 진료역량을 강화하기
치과계가 아동치과주치의제의 전국화 및 전 국민 치과주치의 사업을 위한 기틀을 마련해야 한다고 정부에 목소리를 높였다. 더불어민주당 서영석‧신동근 의원실과 건강사회를 위한 치과의사회는 공동주최로 지난 21일 국회 의원회관 제9간담회실에서 ‘치과주치의 사업의 발전방향과 중앙정부의 역할’을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인사말에 나선 신동근 의원은 “학생 시절 구강관리가 성인이 될 때까지 영향을 미치고, 치과의료비가 지난 10년간 상승해 구강건강 불평등이 높아진 상황”이라며 “학생치과주치의 사업은 국민 구강건강을 향상시키고 지키는 중요한 사업이다. 국회에서는 이 사업의 지속성을 위해 사업예산 확보와 증액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서영석 의원도 “예방진료 중심의 치과주치의제는 길게 보면 건강보험료를 절감하는 길이기 때문에 국가가 사업을 적극적으로 주도해야 하는, 시대적 과제”라며 “제도의 안착을 위해 해결할 숙제가 많지만 토론회를 통해 좋은 방안과 대책이 나오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서 의원은 “장애인 치과주치의제도 정착에도 관심을 갖고 있으며, 이번 토론회가 치과주치의제가 제도 개선의 전환점이 됐으면 한다”며 “제언들을 잘 살펴 정책에 반영할 사안이 있는지 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