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이하 복지위)가 문을 열었다. 코로나19 관련 질의응답이 1시간 넘게 오고 갈 만큼 화두는 역시 코로나19였다. 세부적으로 ▲의료인력, 역학조사관 부족 ▲비대면 의료서비스 ▲감염병 전문병원 설립 ▲지역의료 격차 해소 ▲공공의대 설립과 의대 정원 확충 ▲여름철 선별진료소 운영 대책 ▲의료진 피로도 등이 지적됐다. 강병원 의원이 의료인력 지원 확대를 검토하고 있는지 묻자 박능후 보건복지부장관은 “사회적으로 수요는 많은데 의료인력은 부족한 형편”이라며 강 의원의 지적에 동의하고 “지역적으로 보면 수도권에 집중적으로 의사가 몰려있고, 지방 의료인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그리고 바이오헬스가 눈부시게 발전하고 있지만, 의료와 연구를 겸할 수 있는 인력도 부족하다”고 말했다. 이에 박 장관은 “상임위 중심에서 이 안을 좀 더 적극적으로 검토해 빠른 시일 안에 구체적으로 의료인력을 확대하는 방안을 의원님들과 상의하며 방안을 마련해나가도록 하겠다”고 답했다. 박 장관은 또 고영인 의원의 감염병 전문병원 설립 계획과 관련된 질문에 대해 “감염병 전문병원들은 권역별로 단계적으로 확대해 가고 있었다”며 “이번에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확대
제21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이하 복지위)가 17일 오전 회의를 열고 3차 추가경정예산을 논의했다. 이날 박능후 보건복지부장관과 이의경 식품의약안전처장이 3차 추경안과 함께 향후 계획에 대해 설명했다. 박능후 장관은 “코로나19 재유행에 대비한 의료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국가 예방 접종 대상을 고등학생까지 확대하고, 호흡기전담클리닉, ICT 활용 건강관리도 속도가 있게 추진해 나가겠다”며 “코로나19로 인해 생계를 위협받는 분들에게 복지를 확대하고 수요가 높은 방역 관련 일자리를 새롭게 창출하여 서민들의 걱정을 조금이나마 덜어드리겠다”고 말했다. 이어 “신속한 대응을 위한 치료 자원 확보와 시도별로 중증도에 따른 치료병상을 확보하는 등 검역별 공동 대응체계도 구축하겠다”며 “동원 가능한 인력과 물자를 사전에 파악해 확충하고 국민이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의료체계도 구축하겠다”고 약속했다. 박 장관이 밝힌 복지부 소관 3차 추경안은 총 1조 542억원 규모로, 방역 역량 강화에 6688억원을 투자한다. 방역물품 비축, 인플루엔자, 국가 예방접종 확대에 2274억원을 편성하고, 여기에 음압병상과 선별진료소 확충을 위한 예산 및 경영이 어려운 의료기관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