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2 (수)
심혈관질환의 진료비나 경제적 부담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건강증진기금 대비 심혈관 투자 비중은 극히 낮다. 이에 법적으로 심혈관질환을 위한 기금 확대 방안과 정책입안자를 공략할 수 있는 다양한 아이디어가 학술대회를 통해 공유됐다. 지난 16~18일 워커힐호텔에서 개최된 대한심장학회 추계학술대회를 통해 심장질환 대응을 위한 기금조성 전략을 모색하는 시간이 마련됐다. 먼저 심혈관질환의 경제사회적 부담에 따른 기금 확대 필요성에 대해 강조한 날리지웍스 박성준 팀장은 심혈관 질환의 진료비 등 경제적 부담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박 팀장은 “단순 진료비만으로도 2040년에는 심혈관 질환(뇌혈관 제외) 진료비가 20조원에 가까울 것”이라며 3년전 분석에서 도출한 15~25조원에 비해서도 현재 증가속도가 빠르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