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7 (토)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최신연구진전

아시아 국가별 미숙아 망막증 선별검사·치료 현황은?

신생아 치료기술 발달한 고소득 국가일수록 적절한 시기 망막증 검사 실시 확인돼

우리나라와 일본 등 아시아 8개 국가의 신생아 전문의를 대상으로 미숙아 망막증(ROP)의 선별 검사와 치료를 비교 조사한 첫 연구가 국제학술지에 발표됐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은 소아청소년과 윤영아(공동 제1저자) 교수가 8개 국가 336개 신생아중환자실 운영의료진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하여 각 나라별 프로토콜을 공유한 문헌 조사를 함께 시행한 결과를 발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공동 제1저자인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김세연, 공동 교신저자인 삼성서울병원 장윤실, 이대목동병원 조수진 소아청소년과 교수와의 공동 국제 연구결과이다. 



연구 결과, ROP 선별 검사 및 치료에 대한 아시아 8개국의 가이드라인 및 실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극소미숙아 (재태<27+0주)를 대상으로 한 미국의 자료에서 치료가 필요한 ROP (treated ROP)의 발생률은 13.7%이었던 반면, 한국 신생아네트워크 자료를 기반으로 한 한국의 발생률은 11.5%이었으며, 일본은 14.8%로 조사됐다. 또 말레이시아에서 ROP 발생률(any ROP)은 29.4%, 태국 17.7% 등으로 확인됐다. 

미국 및 서부 유럽 고소득 국가에서는 신생아 치료 기술의 발달로 더 어리고 작은 아기도 생존하고, 미숙아 망막증이 생기기 때문에 선별 검사 기준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고, 개발도상국에서는 상대적으로 성숙한 아이들 대상으로 선별검사를 하는 경향이 있었다. 

즉, 미국 등 서구권에서는 출생체중이 1,500g 미만이거나 출생 시 재태 연령이 31주 미만, 한국은 30주 미만, 일본은 31주 미만 출생아, 필리핀, 싱가폴, 말레이시아, 대만은 32주 미만, 인도네시아는 34주 미만 출생아를 대상으로 미숙아 망막증 발생 여부에 대한 선별검사를 시행했다. 

치료법은 3단계 이상의 망막증이 발생하는 경우 수술 (laser photocoagulation) 혹은 항혈관내피성장인자 (anti-AVEGF) 유리체 삽입술로 조사됐다. 

우리나라 기준으로 재태주수 37주 미만인 아기를 미숙아, 출생 당시 체중이 2500g 미만인 아기를 저체중 출생아라고 한다. 그중에서도 체중이 1500g 미만인 극소 저체중 출생아로 과거에는 생존 한계라고 간주되던 극소 미숙아도 살려내고 있다. 

하지만 매해 전 세계 3만2300명이 치료할 수 없는 시력장애를 지닌 미숙아로 태어나고, 이중 2만명이 시력을 잃고 있다. 

이번 연구는 이러한 미숙아 망막증을 조기 발견하기 위해 아시아 신생아 네트워크인 AsiaNeo를 바탕으로 아시아 고소득과 저소득 국가의 다른 미숙아 형태를 대표한 첫 협력 연구다.  

윤영아 교수는 “AsianNeo를 통한 아시아의 여러 국가의 설문 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주산기/신생아 관리 시스템과 더불어 지역의 결과에 관한 정보를 평가할 수 있었으며, 추후 참여 국가의 신생아중환자실의 의료 질 향상(Quality improvement) 활동을 위한 기초 정보를 확보할 수 있었다”라고 연구 의미를 설명했다. 

KNN(한국신생아네트워크) 의료질향상 위원장이자 국제협력소위원으로도 활동중인 윤 교수는 “미숙아 망막증은 치료 가능한 실명의 원인이라는 점에서 선별 검사의 중요성이 있고, 미숙아 망막증 발병률은 신생아 관리의 많은 단계를 포괄하기 때문에 신생아중환자실 관리의 품질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지표로 볼 수 있으므로 개별 국가 상황에 합당한 체계적인 선별 검사 프로토콜을 정립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 국립 보건 연구원 (Korea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및 일본 아동건강 및 발달 연구소 (National Center for Child Health and Development) 지원으로 수행됐으며, 연구 결과는 Nature Publishing Group이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Scientific Report' 최근호에 게재됐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