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한약사회(회장 임채윤)가 조제권 보장과 의약품 유통 정상화 등 한약사 직역의 핵심 현안 해결을 위해 여야를 아우르는 정책 협의에 본격 나섰다.
이번 행보는 특정 정당을 넘어, 국민 건강을 위한 제도 개선이라는 대의 아래 정치권이 공동 대응에 나선 점에서 의미 있는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지난 21일, 더불어민주당 중앙당사에서 열린 ‘한약사 현안 경청간담회’는 안규백 의원(대선 중앙선대위 총괄특보단장)의 주재로 진행됐다. 간담회에 참석한 한약사들은 △의약품 공급 차별 △조제권 제한 △직능 갈등 등 현실적인 문제를 전달하며 “약사법상 정당한 공급 대상임에도 일부 제약사들이 공급을 거부해 생존권을 위협받고 있다”고 호소했다.
이에 안규백 의원은 “통즉불통, 불통즉통(通卽不痛, 不通卽痛)이라는 말처럼 소통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한약사 여러분의 고충과 애로사항에 귀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이어 23일에는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정책협약식이 열렸다. 대한한약사회와 국민의힘 직능총괄본부는 ▲공정한 의약품 유통체계 마련 ▲한약사 조제권 보장 ▲6년제 한약학과 도입 ▲비대면 진료체계 내 한약사 참여 확대 등 7대 정책과제에 상호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서명옥 의원(국민의힘 선대위 직능총괄부본부장)은 “고령화 시대, 지역사회 건강을 책임지는 한약사의 전문성과 역할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며 “국회 보건복지위원으로서 한약사 제도의 합리적인 정비와 직역 간의 조화로운 협력 체계 마련을 위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챙겨가겠다”고 밝혔다.
임채윤 대한한약사회 회장은 “한약사는 분명한 법정 보건의료인임에도 불구하고, 조제권이 제도적으로 보장되지 않은 채 지속적으로 침해받고 있으며, 의약품 유통 과정에서는 일부 제약사들의 차별적 공급 배제로 인해 기본적인 약국 운영조차 어려운 실정”이라며 “30여년간 방치된 구조적 문제를 바로잡기 위해, 정당을 초월해 한약사의 정당한 권리가 회복될 수 있도록 끝까지 목소리를 내고 제도 개선을 이끌어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