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7 (화)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학술/학회

‘Bax 단백질’로 식도암 예후 미리 안다

최진혁 교수팀 “치료계획 수립 및 예후 예측에 도움“

국소 진행성 식도암 환자에서 ‘아포토시스’라는 세포, 즉 스스로 죽어버리는 자멸사와 관련된 ‘Bax 단백질’이 치료반응 및 예후를 알 수 있는 물질임이 국내 의료진에 의해 처음으로 확인돼 관심을 모으고 있다.

아주대병원 종양혈액내과 최진혁ㆍ강석윤 교수팀은 지난 1996년부터 2004년까지 국소 진행성 식도암으로 진단후 ‘항암화학요법(5-FU 및 시스플라틴 병용요법)과 방사선치료의 병용요법’ 치료를 받은 환자 63명을 대상으로 진단 당시 'Bax 단백질의 발현 정도‘와 ‘치료 반응율 및 예후와의 연관성’을 관찰한 결과 이러한 연구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에 따르면 치료전 내시경 검사에서 얻어진 ‘식도암 조직’을 ‘면역조직화학검사’를 통해 아포토시스와 관련된 단백질, △ p53 △ Bcl-2 △ Bax △ galectin-3의 발현 정도를 각각 살펴본 결과 △ p53 △ Bcl-2 △ galectin-3의 발현 정도와 환자의 예후와는 연관성이 없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반면 아포토시스를 촉진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 ‘Bax 단백질’의 경우 발현정도에 따라 평균 생존기간이 차이가 났다는 것.

Bax가 높은 발현군의 평균 생존기간은 16개월인데 반해, 낮은 발현군은 8개월로 약 2배 정도 차이가 나, ‘Bax의 발현 정도’가 낮을수록 치료 반응율이 낮고, 예후도 좋지 않음을 확인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따라서 식도암 환자의 'Bax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확인하면 앞으로의 치료반응 및 예후를 미리 알 수 있게 됐다.

특히 국소 진행성 식도암에서 치료전 ‘치료효과 및 예후’를 상당 부분 예측할 수 있는 물질을 확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인 것으로 알려져 더욱더 주목을 받고 있다.

국소 진행성 식도암 환자는 전체 식도암 환자의 대략 70%를 차지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강석윤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국소 진행성 식도암 환자에서 적절한 치료계획을 세우거나 예후를 예측하는데 ‘Bax의 발현 정도’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의의를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2006년 10월 유럽종양내과학회(ESMO)와 2007년 6월 미국임상종양학회(ASCO)에 발표됐으며, 2006년 10월 유럽종양내과학회에서 ‘우수논문 초청상(ESMO Travel Award)’을, 2007년 6월 개최된 33차 대한암학회에서 ’GSK 학술상‘을 받은 바 있다.

아울러 미국암연구협회(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 )가 발간하는 ‘임상암연구지(Clinical Cancer Research)’ 2007년 7월 15일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