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1 (목)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학술/학회

국내연구진 T세포 불활성화로 새 항암치료법 개발

서울대 교수팀, 자연살해 T세포 불활성화 방법 해결


국내 연구진이 체내 면역 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자연 살해 T세포에 대한 리간드를 이용해 항암 치료효과를 크게 개선하는 연구성과를 도출했다.

이는 교육과학기술부-한국과학재단의 국가지정연구실사업(NRL)을 통해 지원받은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강창율(54세) 교수팀의 연구 성과다.

면역학 분야의 세계 최고 권위지인 면역학저널(Journal of Immunology) 11월 4일자 인터넷 판에 게재됐고, 연구성과의 중요성을 높이 평가해 ‘혁신적인 연구 성과(Cutting Edge)' 섹션에 게재될 예정이다.

체내 면역 체계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면역 세포로서 기존의 일반적인 T세포 외에 자연 살해 T세포가 항암 면역 치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자연 살해 T세포는 면역세포를 활성화시키는 리간드의 반복 투여 시 불활성화 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강창율 교수팀은 항 PD-1 항체 혹은 항 PD-L1 항체를 이용해 자연 살해 T세포 표면에 발현되는 PD-1 분자의 작용을 저해함으로써 리간드의 반복투여에 의해 발생하는 자연 살해 T세포의 불활성화를 막았다.

이를 통해 자연 살해 T세포에 대한 리간드를 이용한 항암 치료 효과를 크게 개선할 수 있음을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항암 면역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자연 살해 T세포에 대한 리간드 투여를 이용한 항암 면역 치료가 가지는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항암치료제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강교수는 “자연 살해 T세포에 대한 리간드와 함께 항 PD-1 항체 혹은 항 PD-L1 항체를 투여해 자연 살해 T세포가 불활성화를 극복하고 지속적인 항암 활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연 살해 T세포에 대한 리간드를 이용한 다양한 암 치료에서 큰 기여를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용어설명>
△항 PD-1 항체=체내의 면역세포가 활성화될 때 표면에 발현되는 PD-1 분자가 PD-L1과 같은 상대분자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저해하는 항체. PD-1 분자가 상대분자와 상호작용을 하면 PD-1 분자를 발현하는 면역세포는 활성이 감소되는데 이를 저해하는 기능을 갖는다.

△항 PD-L1 항체=체내의 다양한 세포의 표면에 발현되는 PD-L1 분자가 PD-1과 같은 상대분자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저해하는 항체. 항 PD-1 항체와 유사한 기능을 갖는다.

△자연 살해 T세포=체내 면역 체계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면역 세포의 하나로, 일반적인 T세포와는 달리 당지질 등을 항원으로 인식해 활성화된다. 외부 물질 침투 시에 빠르게 반응하는 특성을 가지며, 활성화되면 다른 많은 면역 세포들에 영향을 주어 전반적인 면역 반응의 증강 및 조절에 크게 관여한다. 이러한 성향으로 인해 다양한 질환 치료에 활용될 수 있다.

△리간드=원래는 어떤 분자에 결합할 수 있는 물질 혹은 분자를 의미하며, 면역학적으로는 면역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하는 물질(면역 세포의 활성화는 면역 세포의 수용체에 리간드가 결합함으로서 이루어짐)의 의미도 가진다.

△일반적인 T세포=체내 면역 체계에 있어서 가장 대표적인 역할을 하는 면역 세포로, 특징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되며 면역 반응의 유도 및 조절에 있어서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일반적인 T세포의 경우 단백질을 항원으로 인식해 활성화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