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6 (월)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병원/의원

극심한 가슴통증의 협심증 환자 매년 4.1% 증가

환자 10명 중 9명은 50대 이상…20~40대는 감소

협심증 환자수가 매년 늘어나고 있어 예방 및 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요망된다. 특히 50대 이상 환자가 대부분인데 반해, 20~40대의 젊은층은 오히려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에서 최근 5년간(2007-2011년) ‘협심증(I20)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협심증 진료환자는 지난 2007년 45만5000명에서 2011년에는 53만3천명으로 늘어나 연평균 4.1%의 증가율을 보였다.

협심증 진료에 지출한 총 진료비는 2007년 4177억원에서 2011년 5413억원으로 약 1.3배 증가했다. 이 중 건강보험공단이 부담한 비용은 각각 3175억원과 4192억원으로 연평균 7.2%씩 상승했다.



지난 2011년 기준 연령대별 ‘협심증’ 진료환자는 50대 이상 환자가 전체의 88%를 차지하는데, 이 중 60대가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여 전체 협심증 진료환자의 3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연령대별 인구수를 보정하는 경우 인구 10만명 당 협심증 진료환자는 70대가 가장 많았으며, 남성이 6271명, 여성 5280명이었다.



2007년부터 2011년까지 협심증 진료환자 수는 연령대별로 다른 추이를 보였는데 30대 이하와 40대는 감소 추세인 반면 50대부터는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특히, 80대 이상의 경우 매년 평균적으로 14.7%씩 증가하여 2011년 협심증 환자는 2007년에 비해 1.7배 증가한 4만1825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심장내과 양주영 교수는 협심증 환자가 증가하는 이유에 대해 식단의 서구화를 지목했다. 서구화된 식단에 따라 고혈압, 당뇨병 등과 같은 만성질환이 증가하게 되어 운동부족, 비만, 과도한 스트레스 등과 같은 동맥경화증의 위험인자가 되는 질환이 증가한 것이다.

이와 함께 최근 의학의 발전으로 평균 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고령인구가 늘어나게 되고, 합병증인 동맥경화증의 증가에 따라 협심증 환자가 증가하게 된다.

또 50대 이상에서 협심증 환자가 증가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협심증으로 발전하기까지 장기간 소요되는 시간 때문이라고 말했다.

협심증의 주된 원인은 관상동맥의 동맥경화증으로 혈관의 노화현상을 일컫는 동맥경화증은 20대부터 발생한다. 최근 들어서는 동맥경화증을 악화시키는 고혈압, 당뇨, 흡연 등으로 인해 동맥경화증의 진행이 빠르며, 협심증을 일으킬 정도로 진행되는 기간이 20~30년 정도 되기 때문에 50대 이상에서 협심증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협심증의 환자가 20~40대에서 점차 감소추세를 보이는 이유에 대해서는 건강에 대한 높은 관심과 자세 때문이라고 밝혔다.

최근 젊은 연령층에서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면서 운동이나 건강식을 하는 것이 영향을 주었고 주기적인 검진을 통해 위험인자를 미리 발견하고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를 해왔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협심증 예방 및 관리요령
협심증은 동맥경화증이 원인이므로 주요한 위험인자인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의 철저한 관리가 필요한데 이러한 관리를 위해서는 적절한 약물치료와 함께 생활요법이 병용되는 것이 중요하다.

생활요법은 일주일에 3회 이상 운동을 하고, 저염식, 저지방 음식의 섭취와 야채, 생선과 같은 건강식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협심증 예방에 있어 금연은 절대 금물이다. 또 고혈압이 있는 경우는 생활요법과 함께 항고혈압제를 투여해 적정한 혈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고, 중년 이후에는 이상지질혈증이 자주 나타나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에는 항고지혈증제제를 복용해야 한다.

당뇨병의 경우에도 생활요법과 함께 적절한 약물치료를 시행하며 꾸준히 관리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당뇨병의 경우 무증상 협심증의 발생빈도가 높기 때문에 심혈관질환에 대한 정기적인 검사가 필요하다.

이밖에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위험인자의 관리도 중요하지만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위험인자를 조기에 발견하고 이를 통해 위험인자의 관리를 철저히 하는 것이 협심증 예방에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