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과, 성형외과, 소아청소년과 등에서도 발기부전 치료제가 다량 처방·공급된 것으로 나타났다.
새정치민주연합 인재근 의원(사진, 서울 도봉갑)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안과, 성형외과, 소아청소년과 등에 다량의 발기부전치료제가 공급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10일 밝혔다.
최근 3년간 의원급 의료기관의 전문과목별 공급량은 비뇨기과가 약 9억 원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일반의원 7억3400만원, 내과 7,392만원, 피부과 5,089만원, 외과 4,992만원, 정신건강의학과 4,630만원 순이었다.
튿히 안과, 성형외과, 진단방사선과, 영상의학과, 소아청소년과에서도 3년 동안 총 1,919만원의 발기부전치료제가 공급된 것으로 나타났다.
품목별로 보면 품목별로 보면 스텐드로주 62,264개(1,256백만원)로 가장 많이 공급됐고, 팔팔정 종류가 12,632개(2,945만원)로 가장 많이 공급됐고, 시알리스 6,458개(6,907만원), 엠빅스에스구강붕해필름 6,649개(2,677만원), 자이데나 6,408개(4,126만원), 비아그라 5,228개(5,487만원) 등 순이었다.
의원급 의료기관의 발기부전치료제 공급량은 지난 2011년 6.1억원에서 2013년 7.3억으로 61억원에서 2013년 73억으로 20% 급증했으며 약국의 경우 2011년 1,076억원에서 2013년 870억으로 20% 가량 급감한 것으로 확인됐다.
한편 지난 2월에 식약처가 발표한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의‘발기부전치료제 사용현황 및 설문조사’에 따르면 처방외 경로 이용경험자가 1,500명중 1,015명으로 67.7%를 차지했으며, 그 이유로는 67.4%에 해당하는 684명이‘쉽게 구할 수 있어서’로 응답했다. 또한 처방외 구입경로로는‘친구나 동료’를 통한 방법이 1,061건(78.6%)으로 가장 많았다.
인재근 의원은 “발기부전치료제는 비급여 항목으로 필요한 환자에게 적절하게 처방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특히 안과, 소아청소년과 등에 공급된 발기부전치료제는 더욱 우려스럽다”며 “무분별한 유통은 국민건강에 심각한 위해를 줄 수 있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