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침체된 장기기증과 이식을 활성화 하기 위해 의료기관에서 뇌사자를 적극 발굴하는 쪽으로 정책방향을 전환하기로 하고 의료기관 주도의 장기구득기관(OPO:Organ Procurement Organization)을 설치, 운영하기로 했다.
정부의 이 같은 조치는 지금까지 뇌사자 가족이 장기기증을 신청하기를 기대해 왔으나 수동적으로 기다리다 보니 뇌사 장기 기증이 급격히 감소하는 등 문제가 야기되어 이로 인해 장기 이식 환자가 장기간 대기하는 등 고통을 겪음에 따라 이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복지부는 이런 내용의 '장기기증관리개선 종합대책'을 4일 발표, 주목을 끌고 있다.
복지부가 마련한 대책에 따르면 장기기증 문화의 저변 확대를 위해 '장기기증의 날'을 제정하여 장기 기증의 필요성을 널리 인식 시키고 장기기증자의 추모비 건립사업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뇌사 장기기증 희망자를 사전에 파악할 수 있도록 운전면허증에 각막, 신장 등 구체적 장기의 기증의사를 표시하는 장기기증 희망 표시제도를 추진, 시행하기로 했다. 복지부는 효율적인 잠재 뇌사자 발굴과 장기기증 사업을 활성화 할수 있도록 장기기증 설득을 전담하는 장기구득기관 제도를 도입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복지부는 장기구득 기관은 우선적으로 현재 서울대병원 등 16개 뇌사자관리 전문 의료기관에 설치, 운영하고 장기적으로는 미국과 경우와 같이 비영리법인의 형태의 별도 독립장기구득기관을 신설하기로 했다.
특히 잠재 뇌사자를 신고한 의료기관에 대해서는 장기이식의료기관이 지정하는 장기 1개를 해당 의료기관의 이식 대기환자에게 우선 배정하고, 일반의료기관에는 재정적 인센티브를 부여하기로 했다.
또한 뇌사 조사는 발굴의료기관에서, 뇌사판정은 장기구득기관에 설치된 뇌사판정위원회에서 전담토록 역할 분담을 함으로써, 뇌사판정이 공정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수 있도록 개선하기로 했다.
복지부는 장기이식자 선정업무에 치중되어 있는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KONOS)의 역할을 재정립 하여 중환자실이나 응급실 종사자 대상으로 잠재 뇌사자 발굴 홍보 ·교육 훈련을 실시하는 등 기능을 강화할 계획이다.
복지부는 이러한 '장기기증관리개선 종합대책'을 추진을 위해 관련법의 개정과 예산확보를 통해 빠르면 2007년부터 시행할 옮길 계획이다.
복지부 혈액장기팀 정은경 팀장은 "종합대책이 계획대로 추진되면 지난해말 86명에 불과했던 뇌사장기기증자수가 2010년에는 500명 수준까지 늘어나 장기이식 대기자의 이식대기 기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현재 국내 평균 이식대기 기간은 신장 542일, 간장 332일, 췌장 651일, 심장 470일, 폐 605일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복지부는 1988년 뇌사자의 장기기증에 의한 간이식 수술 성공 이후, 뇌사의 법적 판정을 둘러싸고 생명윤리 논란이 제기되고 그동안 음성적으로 장기 불법매매가 성행하는 등 문제가 빚어지자, 국가적 관리 차원에서 뇌사기증 장기의 공정한 분배를 위해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을 제정, 2000년 2월부터 시행해 오고 있다.
그러나 1999년 162명이던 뇌사 장기기증자가 2002년 법시행 이후 36명, 68명(2003년), 86명(2004년) 등으로 급격히 감소, 이식대기 환자가 장기간 대기로 고통에 시달리고 있으며, 최근에는 중국으로 원정가서 이식받는 사례가 증가하는 등 부작용도 속출, 개선 대책이 요구되어 왔다.
김도환 기자(dhkim@medifonews.com)
2005-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