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1 (금)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기관/단체

대통령 방미 계기, 신약 등 총 4건 양해각서 체결

보건의료 사절단 23개 기업·협회 참여…바이오·제약 네트워킹 세미나


박근혜 대통령 방미(訪美)에 21개의 의료기관, 제약·의료기기·화장품 기업 및 2개 공공기관 등이 보건의료 분야 경제사절단으로 참여, 총 4건의 양해각서를 체결하는 등 보건의료분야 최대 시장인 미국시장 진출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했다.

15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경제사절단(기업·단체·기관) 총 164개소 중 보건의료 분야 기업․단체 등은 23개소가 동행했다. 이는 지난 중국 상해 순방에 이어 보건의료 분야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와 미국시장에 대한 높은 관심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보건복지부와 보건산업진흥원은 보건의료분야 경제사절단 지원, 한‧미 보건의료 분야 협력 강화 등을 위해 장옥주 차관을 대표로 하는 대표단을 파견했다. 14일 워싱턴에서 △1:1 기업 상담회를 비롯하여 △한-미 기업·협회간 양해각서 체결, △바이오‧제약 네트워킹 세미나, △한-미 첨단산업 파트너십 포럼 등을 지원했다.

14일 오전(미국시간 기준)에 개최된 양해각서 체결식에는 한국측 3개 기관과 미국측 4개 기관이 참여하여 총 4건의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제약‧바이오 분야는 INIST ST社가 LSK Bio Pharma社에 신약으로 개발되고 있는 항암제의 비임상‧임상시험용 시료 공급과 대량생산을 위한 공정개발 및 원료의약품 생산‧공급하는 내용의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의료기기 분야는 △PCL社-Orasure社간 체외진단기기 사업협력 및 공동개발 양해각서를, △한국의료기기공업협동조합과 Greater Richmond社(버지니아주 리치몬드시 출자회사) 및 University of Pittsburgh Medical Center(UPMC)간에 미국 의료기기 시장진출 협력과 의료기기 공동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 2건을 체결했다.



정부조달, IT정보보안, 바이오․제약, 제조업혁신․연구개발(R&D) 등 4개 분야에 대한 첨단산업별 네트워킹 세미나도 진행됐다. 이 중 제약·바이오 세션은 보건복지부와 보건산업진흥원 주관으로 개최됐다.

제약‧바이오 세션에는 한‧미 보건의료 관계자 70여명이 참여하여 5개 한국 기업 개발 제품 등에 대한 기업설명회(IR)와 2개 미국 기관의 보건의료 분야 R&D 기술사업화 등에 대해 발표했다. 이를 통해 양측 기업을 알리고 한‧미 바이오·제약 산업관계자의 네트워킹을 지원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14(수)일 오후(미국시간 기준)에는 박근혜 대통령과 한국과 미국의 경제사절단 등 300여명이 참여하는 ‘한-미 첨단산업 파트너십 포럼’이 개최됐다.

포럼에서 이영찬 한국보건산업진흥원장은 ‘한‧미 보건의료산업 협력방안’을 발표하여 한국 보건의료산업의 강점과 잠재력, 정부의 육성정책 및 한‧미 보건의료 협력 분야를 제시했다.

15(목)일 오후(미국시간 기준)에는 재미 한인보건의료인과 보건의료분야 경제사절단 등 100여명이 참석하는 ‘재미 한인 보건의료인 네트워킹의 날’ 행사가 개최될 예정이다.

행사에서 △배병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한국 보건의료산업 세계화 전략을, △NIH 한인과학자협회장은 재미 한인 보건의료인 활동 소개를 각각 발표할 예정이다.

보건복지부 장옥주 차관은 “미국은 보건의료 분야의 세계 최고‧최대 시장이다. 보건의료분야 23개 경제사절단 참여와 현지에서 다양한 활동은 앞으로 한국 보건의료산업의 미국 시장 진출 확대를 위한 계기를 마련한 것이다.”라고 말했다.

보건의료분야 미국시장 현황을 보면 △제약 3,400억불(전세계 시장점유율 약 34.4%)로 세계 1위 △의료기기 1,254억불(전세계 시장점유율 약 39%)로 세계 1위 △화장품 379억불(전세계 시장점유율 약 15%)로 세계 1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