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청소년과개원의사회는 신생아의 출생신고 지역에 관계없이 경피용 BCG를 의료기관이 시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21일 청소년과개원의사회는 최근의 경피용 BCG 접종 혼란과 관련, 입장문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결핵예방접종을 하러 내원한 신생아는 먼저 출생신고지역이 어디인지 확인되어야하며 그 지역이 민간위탁을 하고 있는 지역인지를 다시 한번 확인해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산후조리를 위해 출생신고 지역이 아닌 곳에서 신생아가 지내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근처의 민간의료기관을 찾아 BCG접종을 하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확인에 대한 실랑이가 벌어질 가능성이 높다. 번거롭게 출생신고지역의 민간의료기관으로 찾아가 접종해야하는 경우도 생겨날 수 있다.
또한 출생신고가 늦어져 확인이 되지 않는 경우 선시행에 대한 책임이 고스란히 민간의료기관에 지어질 수 밖에 없다. 백신접종과 관련된 비용상환불가 등이 부담이 될 수 있다.
소아청소년과개원의사회는 감염병예방을 위한 백신의 자주독립이 절실히 요청된다고 덧붙였다.
현재 국내 피내용 BCG백신조달의 문제는 제조사인 덴마크사의 출하지연으로 야기 되고 있다.
소아청소년과의사회는 “국가의 적극적인 지원과 연구가 필요하며 의료긴급상황이나 비상사태에 공공기관에서 민간의료기관사이의 상호전달체계의 시스템화를 공고히 해야 할 것이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