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후조리원 감염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산후조리원 감염관리 종합대책’이 추진된다.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 산후조리원 종사자 결핵 발병 등 산후조리원 감염사고가 증가함에 따라 이같은 정책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28일 밝혔다.
산후조리원은 면역력이 약한 신생아를 집단으로 관리하고 있어 신생아가 감염에 노출될 위험이 높아 보다 철저한 관리와 주의가 필요한 시설이다.
그러나 산후조리원은 감염을 차단하기 위한 조치가 미흡하고, 감염사고가 발생해도 가벼운 처분에 그치며, 정부의 지도․감독이 충분치 않다는 지적이 국정감사 등에서 있었다.
이번 대책은 산후조리원 감염 예방활동 강화, 감염 발생 대응 내실화, 감염관리 기반 강화를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종사자․방문객․신생아 등 잠재적 감염원으로부터 감염 전파를 차단하기 위한 조치를 강화한다.
감염 발생 시 감염병 보고, 감염원인 규명, 전파차단 등의 조치가 신속히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감염이 발생한 산후조리원에 대한 불이익 처분을 강화한다.
빈틈없는 감염관리를 위해 ‘산후조리원 감염관리 지침’에 법적 효력을 부여하여 준수율을 제고하고, 산후조리원 정기 점검주기를 단축(반기1회→분기1회)하며, 산후조리업자 뿐만 아니라 종사자까지 감염관리 의무교육을 받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