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사총연합이 대한의사협회에 회비 인상을 즉각 중단하고 집행부는 총사퇴하라는 내용의 성명서를 29일 발표했다.
전의총은 “지난 17일 대한의사협회 예산편성위원회가 2차 회의를 통해 올해 대의원총회에서 집행부 부의안건으로 회비인상안을 상정하는 방안을 제안했다는 보도가 알려지자 전국의사총연합(이하 본 회)을 비롯한 수많은 민초의사들은 무능한 집행부의 뻔뻔한 행보에 황당함과 함께 분노를 금할 수 없었다”며 “출범이 후 줄곧 무능함과 민초 의사들의 정서에 반하는 독단적인 회무를 통해 회원들의 사퇴 요구와 탄핵 압박까지 받고 있는 현 의협 집행부가 최근 의협 회비 납부율 저조로 인해 재정적 어려움에 처하자 회비 인상을 통해 이를 해결하려는 어이없는 방법을 택한 것을 납득할 수 있는 회원은 아무도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의협은 현재 자신들이 쓸 수 있는 재정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인데 여기서 회비만 올려 받는 다면 누가 동의할 수 있겠나”라며 “단적인 예로 의협은 지난 2014년 대의원총회를 통해 2년간 회원들에게 각각 한방대책특별기금 1만원과 투쟁회비 1~2만원을 걷어 놓고는 이를 제대로 사용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특위에서 논의되는 사안들이 제대로 의결되어 실제로 집행되는 일이 거의 없어 그 동안 대한방 여론전 등에서 의협이 실망스러운 행보를 보인 것은 누구나 알고 있는 상황이라는 것.
투쟁회비를 걷어 놓고 아무 실효성 없는 대표자 궐기대회 같은 보여 주기식의 행사만 하는 상황인데 이런 회무 능력을 보고 자발적으로 의협회비를 내는 의사회원이 있기를 바라는 것은 과욕이라는 생각이다.
전의총은 “의협회비 납부율이 낮아진 이유는 바로 현 의협 집행부의 회무에 대한 회원들의 실망과 분노가 회비 납부 거부로 나타났기 때문”이라며 “따라서 의협이 현재의 재정적 어려움을 극복하는 가장 손쉬운 방법은 회원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회무를 진행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한의사 현대의료기기 사용 불가 판정을 정부로부터 얻어내고, 의료일원화를 주장하기 전에 한방의 과학적 검증을 정부에 직접적으로 요구해 안전성과 효과가 없는 치료를 퇴출하고 국민들에게 이를 알리는 작업을 해야 할 것”이라며 “원격의료 저지를 위한 강력한 대정부 압박과 여론전에 돌입하고, 최근 쏟아져 나오고 있는 정부의 각종 의사 죽이기 정책에 강하게 저항하는 모습을 보여준다면 회원들은 아마 의협회비 납부 운동을 벌이고 자발적으로 회비를 납부 할 것이다”고 주문했다.
전의총은 “만약 의협 집행부가 지금까지의 회무에 대해 잘못을 인정하고 의협회비를 낮추는 결단을 통해 회원들에게 사죄의 뜻을 전한다면 의협회비 납부율은 오히려 올라갈 지도 모르는 일”이라며 “하지만 지금까지의 의협의 행보나 집행부의 성향을 보았을 때 이러한 기대는 허황된 꿈을 꾸는 것과 같을 것이기에 앞으로도 의협회비 납부율의 상승은 있을 수 없다. 적극적인 회무를 통해 회비 납부율을 올릴 자신은 없고, 돈은 궁하니 차라리 고정 수입처럼 생각되는 전공의와 일부 봉직의들의 회비라도 더 받아서 재정적 어려움을 타개하려는 꼼수를 부리는 의협을 이제 더 이상은 용서할 수 없다”고 경고했다.
전의총은 회원들의 뜻을 따르지 않고 자신들의 안위만을 생각하는 집행부는 존재의 가치가 없다며 ▲회비 인상 시도 즉각 중단 ▲무능하고 회원들의 뜻에 반하는 회무를 하는 현 의협 집행부 총사퇴 ▲의협 대의원회는 회비 인상 건을 집행부가 안건으로 올릴 시 즉각 부결 및 의협회장 탄핵안 상정 등을 요구했다.
끝으로 전의총은 “본 회는 위의 요구들을 의협이 실행에 옮길 때까지 끝까지 의협을 압박할 것이며, 요구가 관철될 수 있도록 모든 수단을 동원하겠다”라며 “의협이 본 회의 요구를 무시하고 회원들의 정서에 반하는 현재의 회무를 지속하고 회비 인상 시도를 지속한다면, 의협회비 납부 거부 운동을 더욱 강하게 벌일 것이며 모든 의사 회원들과 함께 현 의협 집행부와 대의원회에 엄중한 책임을 물어 현재의 자리에서 물러나게 만들 것임을 천명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