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 찬 수 서울대 의대 내과 Chan-soo Shin, M. D. Dept. of Internal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서 론 여성이 폐경기를 넘어서면 관상동맥 질환과 뇌혈관 질환의 위험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연령 증가에 따라 지속적으로 위험이 증가하게 된다. 폐경이 자연적으로 온 경우 보다 수술에 의해 자궁과 난소를 모두 적출한 경우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이 더욱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폐경과 함께 내인성 에스트로겐이 부족한 것이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 증가로 이어진다고 하며 폐경과 뇌졸중 사이에도 이와 유사한 연관성이 관찰되어 왔다. 이러한 연관성은 폐경후 여성을 대상으로 에스트로겐 투여가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을 낮출 수 있다는 관찰연구의 결과가 나옴에 따라 더욱 설득력을 지니게 되었고 폐경후 증상의 개선과 골다공증의 치료와 함께 심혈관계 위험의 감소가 호르몬 대체요법의 주 적응증이 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Heart and Estrogen-progestin Replacement Study(HERS) 연구 결과가 발표된 이후 관상동맥 질환의 예방보다는 오히려 사망률을 증가시킬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폐경 후 여성에서의 호르몬 대체요법과 관상동맥 질환의 위험을 분석한 연구결과를 분석하고 증례를 통한 예방 대책을 논의하고자 한다.
본 론 1. 호르몬 대체요법과 관상동맥질환의 1차 예방(Table 1) 현재 에스트로겐/호르몬 대체요법이 관상동맥질환의 1차예방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는 대규모 전향적 연구가 진행중으로 아직 그 결과가 발표되지는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호르몬 대체요법과 관상동맥질환의 1차예방과의 관계는 2차예방에 대한 것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자료가 불충분한 실정이다. 관상동맥질환을 지니지 않은 폐경후 여성에서 호르몬 대체요법이 관상동맥 질환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관찰연구(observational study)에서는 호르몬 투여에 의해 새로운 관상동맥질환의 발생이 낮아졌음이 일관되게 보고되어 왔다.
최근 발표된 meta-anaylsis 결과 에스트로겐 단독 투여 혹은 호르몬 대체요법 시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평균 35%의 관상동맥 질환 위험의 감소를 가져왔다고 한다. 이러한 결과가 일관되게 발표되고 있고, 발생률 감소폭이 35%에 이르는 점 등으로 인해 호르몬 대체요법이 관상동맥질환의 1차예방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것에 반론이 제기되지는 않아왔다.
그러나 몇가지 고려해야 할 점은 있다. 대규모 관찰연구가 전향적 무작위 임상시험에 비해 보다 더 장기간의 치료 효과를 알아내는 데에는 효과적이지만 최근 Mosca 등이 분석하였듯이 이런 연구는 여러 가지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고 한다. 즉, 호르몬 대체요법을 받은 여성은 대조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건강하였으며, 치료 중의 환자 추적이 더 잘 이루어졌고, 규칙적으로 약을 복용하는 생활습관은 생존율의 증가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한다. 또 호르몬 대체요법을 하던 환자 중 질병에 이환되면 호르몬 투여를 중단하고, 그 시점부터 비투여자로 분류가 되어 치료군에서의 위험이 감소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호르몬 치료 후 아주 초기에 사망하여 코호트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호르몬 대체요법의 초기 부작용 분석에서 제외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무작위 임상시험이 고안되었고 현재 Women’s Health Initiative (WHI)나 유럽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WISDOM 연구 등의 결과가 발표되면 곧 호르몬 대체요법과 관상동맥 질환의 1차예방에 관한 지침을 주게 될 것이다. 이들 연구가 종료될 때까지 임상에서는 그 동안의 실험실 연구자료, 역학자료, 2차예방에 관한 자료 등에 의존해야 할 것이다.
현 시점에서는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만을 위한 목적으로 호르몬 대체요법을 시작해야 할 이유도 없으며, 현재 호르몬 대체요법으로 잘 지내고 있는 여성에서 이를 중단하여야 할 이유도 없는 상태이다. 호르몬 대체요법 결정은 다른 신체기관에 대해 알려진 장단점과 치료에 따르는 위험 그리고 환자의 순응도를 감안하여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