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시 사태로 우리나라가 시끄러운데 정작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위한다는 대한의사협회가 침묵하고 있다.
8일 의료계 약계 등에 따르면 대한약사회는 옥시 사태에 대해 ‘가습기살균제 논란 안전성 제고 기회 삼아야’라는 보도자료를 통해 입장을 밝혔다. 반면 대한의사협회는 검찰 조사 중이라는 이유로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약사회는 지난 4월27일 오전 긴급 상근임원회의를 개최하고, 논란이 되고 있는 가습기살균제 문제에 대한 대응방법에 대해 논의했다.
약사회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국민건강과 직결된 제품들은 의약외품으로 분류하고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약사회는 “가습기살균제와 관련한 논란으로 지역 약사회와 회원약국에서 해당업체 제품에 대한 판매거부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판매거부 움직임에 충분히 공감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약사회는 “해당 회사 제품 판매거부와 관련해 혹시라도 회원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대응을 위한 법적인 검토도 진행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반면 의사협회는 옥시 사태에 대해 전혀 논의를 하지 않고 있다.
지난 4월27일 상임이사회는 물론이고, 의협이 너무 조용하다는 지적이 있은 후 열린 5월4일 상임이사회에서도 전혀 논의가 없었다.
지난 5월4일 기자브리핑에서 김주현 대변인은 옥시 사안에 대해 입을 다문 이유에 대해 “검찰의 수사가 진행 중인 사안이기 때문이다.”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그는 “옥시 사안은 안타깝다. 공식입장은 의협 산하 국민건강보호위원회에서 검토 중이다.”라고 말했다.
이같은 소식을 접한 의협의 이전 임원은 답답함을 토로 했다.
그는 “약사회는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수사 진행 중인 사안이라서 의협이 신중할 수밖에 없다면 밝혀진 부분에 대해서라도 입장을 표명해야 한다. 안전성에 대한 충분한 검증 없이 판매되고, 그 결과 피해자가 발생한 부분을 지적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의협이 인력풀이나 자문을 받아서 의학적 견해를 밝힐 수 있다. 예컨대 앞으로도 가습기 사용 시 국민건강과 관련된 경우 의학적 검증을 거쳐야 한다고 입장을 밝힐 수 있지 않느냐.”고 말했다.
그는 “의협이 너무 신중하면 거꾸로 두들겨 맞을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이 말은 의협의 신중한 대응이 재발 저린 것 아니냐는 것이다.
의협은 옥시와 지난 2004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당시에는 사스, 신종플루 등 신종전염병이 유행하던 시기였다. 의협은 손씻기 캠페인 차원에서 옥시 제품에 의협 인증마크를 사용하도록 했다. 옥시는 9년동안 의협에 약 18억원을 제공했다.
의협과 옥시의 업무협약이 깨진 것은 한국소비자원이 옥시 제품의 문제를 지적한 이후이다.
지난 2013년 8월6일 한국소비자원은 ‘옥시레킷벤키저’에서 수입‧판매하고 있는 주방세제 ‘데톨 3 in 1 키친시스템’ 3개 제품의 산성도를 측정한 결과, 표준사용량의 pH가 평균 4.0으로 보건복지부고시 ‘위생용품의 규격 및 기준’ 1종 세제기준(6.0~10.5)을 위반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지난 2013년 8월8일 의협은 “제품을 추천 한 책임을 통감한다. 국민에게 사과드린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