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의사의 처방에 따라 환자가 약물을 처방 받은 비율인 투약순응도가 유지 또는 호전될 가능성은 1.1∼1.3배 늘어나는 것으로 파악됐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은 지난 2012년 4월 1일부터 시행되고 있는 고혈압·당뇨병 환자 대상의 의원급 만성질환관리제 및 건강지원서비스 제도의 효과를 평가한 ‘만성질환관리제를 통한 건강지원 서비스의 의료이용 효과분석’ 연구결과를 22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2012∼2013년까지 ‘의원급 만성질환관리제’에 참여해 진료비 경감혜택을 받은 고혈압·당뇨병 환자 139만 491명을 대상으로 제도 참여 전·후의 치료지속성, 즉 외래진료지속성 변화와 투약순응도 변화를 분석했다.
또 환자의 성, 연령, 보험료 수준, 거주지역, 만성질환 종류 등을 보정해 분석한 것으로 만성질환 종류(고혈압, 당뇨병, 고혈압+당뇨병)에 따라 치료지속성 변화를 제시했다.
먼저 의원급 만성질환관리제에 참여한 환자의 치료지속성 변화를 보면 의원급 만성질환관리제에 참여한 환자의 경우 그렇지 않은 환자와 비교해, 외래진료지속성이 유지 또는 호전될 가능성이 적게는 1.6배부터 많게는 9.1배까지 증가했고, 투약순응도가 유지 또는 호전될 가능성은 1.1∼1.3배 증가했다.
또한 건강지원서비스는 참여하지 않고, 의원급 만성질환관리제에만 참여한 환자의 경우도 외래진료지속성이 유지 또는 호전될 가능성이 1.7∼5.2배, 투약순응도가 유지 또는 호전될 가능성은 1.11배 증가했다.
아울러 건강지원서비스 유형별 환자의 치료지속성을 건강지원서비스에 참여하지 않은 환자와 비교했을 경우 공통형 서비스의 외래진료지속성이 유지 또는 호전될 가능성은 2.3∼5.3배, 투약순응도가 유지 또는 호전될 가능성은 1.27배 증가했다.
개별상담 서비스의 외래진료지속성이 유지 또는 호전될 가능성은 2.6∼4.9배, 투약순응도가 유지 또는 호전될 가능성은 1.25배 증가했다.
교육형 서비스의 외래진료지속성이 유지 또는 호전될 가능성은 2.7∼5.0배, 투약순응도가 유지 또는 호전될 가능성은 1.28배 증가했다.
이에 대해 건강보험정책연구원 백종환 박사는 “이번 연구를 통해 의원급 만성질환관리제 및 건강지원서비스제도가 고혈압·당뇨병 환자의 치료지속성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며 “첫째, 건강지원서비스의 참여율을 높이기 위해 참여 환자에 대해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안과 둘째, 제도에 참여할 수 있는 환자의 범위를 현재의 고혈압과 당뇨병 이외에 주요 만성질환으로 점증 확대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