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6 (금)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정책

글로벌 신약 창출 위한 R&D 투자 확대하겠습니다①

전략적 투자·신약 개발 디지털 전환 촉진 추진

정부가 글로벌 신약 개발 등을 위해 R&D 부문을 집중 지원한다.

보건복지부는 24일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서 제약산업 육성·지원 위원회를 개최하고, 바이오헬스 글로벌 중심국가 도약을 위한 ‘제3차 제약바이오산업 육성·지원 종합계획(2023~2027년)’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2월 28일 대통령 주재 회의에서 발표한 ‘바이오헬스 신시장 창출 전략’의 후속 조치로서, 제약바이오산업 글로벌 6대 강국을 달성하기 위한 4대 지원전략과 10대 중점 추진과제를 담았다.

이중 R&D투자와 관련해 살펴보면, 우선 정부는 미국·유럽 등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신약 개발 10개를 목표로, 5년간 민·관 R&D 총 25조원(’23~’27년) 투자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국가신약개발사업(’21~’30년, 2.2조 원)’을 차질없이 이행하고, 감염병·희귀난치질환 등 문제해결을 위한 보건의료 분야에 특화된 혁신적 R&D 추진 체계도 마련할 방침이다.

범부처 협의체를 통한 제약바이오 분야 차세대 유망 10대 신기술 발굴과 신기술 분야에 대한 R&D도 지원한다. 정부는 첨단재생의료 등 유망기술에 대한 연구 강화를 추진하고, 새로운 기술에 대비한 품질 및 안전성 평가 기술도 동반 개발에도 나설 예정이다.

산·학·연·병 등 신약개발 주요 주체 간 공동연구를 지원할 수 있는 개방형 혁신 R&D를 신규 추진한다.

혁신형 제약기업 등을 중심으로 국내 바이오벤처 및 글로벌 제약사 등과의 기술협력을 지원하며, 연구중심병원 인프라를 활용한 공동연구를 확대하는 한편, 정부는 해외 우수 ‘오픈 이노베이션 플랫폼’의 국내 유치에도 힘쓰겠다는 입장이다.

미래 팬데믹에 대비해 백신을 초고속으로 개발하기 위한 차세대 백신 플랫폼(mRNA 등) 연구개발을 지속 지원하고, 안정성 강화·부작용 예측 등 백신 생산의 전후방 연관기술 개발도 지원한다.

정부는 백신 주권 확보를 위한 필수예방접종 백신(일본뇌염, A형간염 등 8종)의 자급화 기술과 고부가가치(프리미엄) 백신 개발, 신·변종 감염병(Disease X) 대비 치료제 개발 등을 지속 지원하고, 임상시험 인프라 및 환자 모집 역량을 갖춘 의료기관 간 컨소시엄 구성을 지원하는 등 임상시험 가속화 체계 구축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치매·파킨슨 등 고령화에 따른 난치성 뇌신경계 질환의 극복을 위한 R&D 지원 강화와 근골격계 질환 등 우선순위가 높은 질환에 대한 연구 투자 확대에도 나서며, 희귀질환자 임상·유전체 데이터(2.5만 명)을 수집·개방해 관련 치료제 개발 연구를 지원하고, 환자단체와 협력해 희귀·난치질환 극복 수요를 발굴해 연구개발을 지원할 계획이다.

AI·빅데이터 등 신약 개발의 디지털 전환도 촉진한다.

정부는 보건복지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협업 R&D를 통해 개발된 공공 인공지능 신약개발 플랫폼을 고도화해 후보물질 도출부터 임상시험 신청까지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수요기업 매칭 등 활용성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차세대 항체의약품 신속 개발을 위해 단백질 구조 예측과 항체 설계가 가능한 ‘가칭한국형 로제타폴드’ 구축과 연합학습 모델을 기반으로 다기관에 분산된 보건의료 데이터 등 민감 정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K-MELLODDY’ 사업을 통해 신약 개발의 가속화를 추진한다.

이외에도 100만명 규모의 유전체 바이오 빅데이터 ‘데이터뱅크’를 구축해 신약 개발 등 질병 극복과 산업발전을 위한 연구 활용에도 힘쓴다.

아울러 정부는 10대 암 관련 공공(검진, 청구, 처방, 사망원인 등) 및 임상(암 환자 165만명) 데이터 구축과 ‘K-CURE 포털’ 및 ‘안심활용센터’ 등 항암제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 추진을 시작으로 향후 심뇌혈관·호흡기질환으로 의료데이터 네트워크를 확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