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4 (월)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기관/단체

엔화대출, 장기적 ‘유용’-단기적 ‘위험’

일본 금리 인상…환차손 위험 ‘주의 요망’

낮은 대출금리로 의료계의 주목을 받고 있는 엔화대출과 관련, 최근 일본의 금리 인상으로 은행과 사업자에게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망된다는 견해가 제시됐다.
 
21일 바름금융그룹 구동엽 팀장에 의하면 그 동안 엔화대출은 은행 등 금융회사들이 싼 금리에 엔화 하락으로 인한 환차익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을 들어 엔화대출을 적극적으로 홍보 하고 있었다고 밝혔다.
 
특히 주택이나 상가 등 부동산을 담보로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금리가 낮은 엔화자금을 조달해 국내 대출금리 보다 낮게 운용, 소비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어 많은 금융회사들이 세일즈에 적극적이었다는 것.
 
게다가 올해 초 한국은행이 콜 금리를 올리면서 시중 CD(양도성예금증서) 유통수익률에 연동된 대출 금리가 상승해 소비자들이 단기적으로 보다 낮은 금융비용으로 자금을 사용할 수 있는 엔화대출에 자연스럽게 관심을 갖게 됐다.
 
엔화대출은 주로 개원의나 약사 등 전문직 개인사업자와 법인 등을 대상으로 판매가 이뤄지고 있으며, 은행마다 다소 차이가 있지만 대출 금리는 연 1.6%~2.5% 내외였다.
 
또한 대출 융자비율은 일반 아파트담보 대출보다 많은 60~85%까지 적용, 만기는 1년 단위로 10~20년까지 연장해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최근 일본이 제로 금리를 포기하고 금리를 인상하면서 은행의 금리 마진 부분이 줄어 은행들이 부담을 느끼고 있다.
 
일본의 금리인상 전에는 2~3% 금리로 대출을 해주어도 마진이 있었으나 최근 일본의 금리 인상은 은행이나 자금이 필요한 사업자들도 부담으로 다가서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렇다면 결국 소비자들의 딜레마는 엔화대출을 사용할 것인가 말 것인가 고민에 빠지게 된다.
 
하지만 문제는 엔화대출을 사용하는 사업자가 어떻게 생각하는냐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는 게 전문가의 견해다.
 
전문가의 설명에 따르면 100엔이 850원이라고 가정했을 때 1억엔을 이율2%로 1년간 대출 받아 사용했다면 1년 뒤 상환금액은 1억200만엔(8억 6700만원)이 된다.
 
하지만1년 뒤 100엔이 900원이 됐을 경우, 빌린 원금은 8억5000만원인데 비해 6800만원이 더 붙은 9억1800만원을 상환해야 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 경우 원화대출을 8%에 사용한 것과 같은 금리가 된다.
 
그러나 위의 예를 국내 은행의 6%대의 대출을 받았을 때와 비교해보면 1년간 이자부분 중 4%인 4000만원의 이자를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엔화대출을 1년만 사용한다면 위 사례와 같은 위험에 노출될 수 있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유용하다고 볼 수 있다.
 
엔화율이 상승함에 따라 환차손 위험이 따른다는 부담이 있지만 장기적으로 생각한다면 어떤 선택을 할지는 소비자 본의의 결정에 맡길 수 밖에 없는 일이다.
 
이영수 기자(juny@medif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