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이 지난 20일 약제비 절감 차원에서 발송한 고가약 리스트에 대해 일선 개원가 및 제약업계가 그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거나 본질을 잘못 짚었다는 의견의 제기되고 있어 관심을 모으고 있다.
먼저 의협이 고가약 리스트가 약제비 절감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의도에 대해 某 개원의는 “건보 총 재정 중 약제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약 30%에 달하는 것은 맞지만 30%를 자세히 보면 의협이 제시한 고가약 비중 보단 조제료가 약제비에 엄청난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조제료에 대한 제고 없이는 고가약·중가약·저가약 구분이 약제비 절감에 그다지 영향을 주지 못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문제의 본질인 의약분업시행, 조제료, 실거래가제도, 보험약가 선정의 문제 등에 대해서는 일체의 언급이 없다”며 “본질적인 문제점에 대해서 접근 자체를 꺼리는 건지 모르는 건지 의아스럽다”고 덧붙였다.
某 의사회 관계자는 “2002년 몇몇 복합제가 비급여로 전환 되려고 할 때 의협이 적극적으로 나서 환자부담금을 올리는 것이 의약분업이냐고 강경하게 반대했던 기억이 있는데 반대로 이번 의협은 앞장서 의사의 처방전까지 제한하려고 한다”며 의협의 고가약 리스트 배포에 강한 불만을 나타냈다.
한편 제약회사들은 입장표명을 자제하고 사태 추이를 관망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한 외자 제약사 관계자는 “협회가 나서 약제비 절감 운동을 벌이는 것은 이해할 수 있으나 약제비 30%를 분석해 보면 약제비 40%이상이 노인질환이나 중증 질환 아닌 일반감기환자에게서 발생하고 있는 점을 볼 때 단지 약제비 절감을 하기 위해 제약회사들에게만 책임을 지우기 보단 잘못된 정책을 바로 잡는 것이 우선 돼야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장 회장이 의협 회장 이전 내과의사회장 재임 시절에도 고가약위원회를 발족시켰던 이력이 있다”며 “그러한 정황을 미뤄 볼 때 제약사에 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이 아니겠느냐”라는 견해를 밝히기도 했다.
이영수 기자(juny@medif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