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폐쇄성폐질환(COPD)이 폐암 발생과 연관이 있다고 알려진 가운데, 폐암 발생과 연관된 주요 인자들이 밝혀졌다.
아주대병원은 호흡기내과 박주헌 교수팀(박지은 교수, 미국 텍사스대학교 맥거번 의과대학 이은영 교수, 분당차병원 김은경 교수, 영국 맨체스터 대학교 데이브 싱 교수)이 한국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코호트 자료에서 2015~2020년까지 5년 동안 40세 이상 처음 흡입기 처방을 받은 COPD 환자 6만3442명을 대상으로 폐암 발생 연관 인자들을 분석했다고 12월 5일 밝혔다.
흡입기 처방은 ▲지속성 무스카린 길항제·지속성 베타2 작용제 복합 처방 3만9588명(62.4%) ▲흡입형 스테로이드·지속성 베타2 작용제 복합 처방 2만2718명(35.8%) ▲지속성 베타2 작용제 처방 1136명(1.8%) 등이었다.
대상자를 5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COPD에서 폐암 발생과 연관된 위험 인자는 ▲간질성 폐질환 ▲높은 동반질환 지수 ▲2회 이상 잦은 입원력 ▲고령 및 남성 등으로 분석됐다.
또, 다변량 분석에서 흡입기 처방과 폐암 발생 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박주헌 교수는 “이번 연구는 시간 관련 편향과 관련된 오류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새롭게 흡입제가 처방되고, 과거 어떤 암 진단도 받지 않은 COPD 환자들만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해, 폐암 발생과 연관된 위험 요인을 규명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또 ”COPD 환자들은 평소 금연을 생활화하고 동반질환들을 잘 관리하는 등 건강한 생활습관 유지가 필요하며, 겨울철 추운 날씨에 호흡기 감염증에 걸리면 급성 악화의 위험이 있어 유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는 최근 국제 학술지 Respiratory Research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