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31 (금)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병원/의원

2025 아시아방사선량평가 그룹 연차회의 동남권원자력의학원에서 개최

한·중·일, ASEAN 및 유럽 선량평가 관련 정부 출연연구소 등 참석
방사선 선량평가 국제 협력과 표준화 강화의 장


  
동남권원자력의학원은 10월 28일부터 31일까지 나흘간 의학원 2층 대강당에서 ‘2025 아시아방사선량평가그룹(ARADOS, Asian Radiation Dosimetry Group) 연차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아시아방사선량평가그룹 연차회의는 한국사후방사선량평가네트워크(KREDOS)와 한국내부피폭연구회(KIDRG)가 공동으로 주관했으며, 방사선 선량평가 분야의 국제 협력과 기술 표준화를 한층 강화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번 회의에는 아시아와 유럽 등 10여 개국에서 약 100여 명의 연구자와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첫날 개회식은 동남권원자력의학원 강영록 방사선의생명연구부장의 사회로 진행되었으며, ARADOS 회장 오사무 쿠리하라 박사의 개회사와 동남권원자력의학원 이창훈 원장의 환영사로 막을 올렸다.

  이창훈 원장은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선량평가는 방사선 치료와 진단, 산업 및 원전 분야의 안전관리, 나아가 국민의 생명과 환경을 지키는 방사선 비상 대응 시스템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며, “그동안 ARADOS는 아시아를 비롯한 여러 나라의 전문가들을 연결하고 국제 협력을 강화하는 중심축으로서 방사선량 평가의 과학적 신뢰성을 높이고 표준화된 방법론을 정립하는 데 큰 역할을 해왔다. 오늘 이 자리가 방사선량 평가와 방사선 방호의 발전을 위해 서로의 경험과 지식을 나누고, 학문적·기술적 협력을 한층 강화하는 시간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대한방사선방어학회 이희석 회장과 김대기 RCA 지역협력사무소 소장이 축사를 전하며 국제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한국원자력연구원 이정일 박사(KREDOS 회장)와 한국수력원자력 방사선보건원 김정인 박사(KIDRG 회장)가 각 협회의 활동을 소개하고 네트워크의 현황과 향후 협력 방향을 공유했다.

  첫날 기조세션에서는 일본 국립 양자·방사선의학연구소(QST-NIRS) 오사무 쿠리하라 박사가 ‘후쿠시마 원전 사고 당시 방사선 비상 작업자의 피폭선량 재구성’을 주제로 발표했으며, 동남권원자력의학원 강영록 박사가 ‘방사선량평가 연구 활동’을 소개하는 등 국내외 최신 연구성과가 공유되었다.

  둘째 날과 셋째 날에는 총 4개의 기술세션이 이어지며, 생물선량평가·외부·내부선량평가·전자스핀공명(EPR) 기반 선량평가 등 다양한 주제가 다뤄졌다.
  생물선량평가 세션에서는 영국 보건안전청(UKHSA)의 Elizabeth Ainsbury 박사가 유럽방사선량평가그룹의 활동을 소개했으며, 일본 양자방사선의학연구소, 히로사키 대학교, 중국 방사선방호연구소(NIRP), 한국원자력의학원, 동남권원자력의학원, 순천향대학교, 한국수력원자력 방사선 보건원에서 국제 협력 체계 구축과 최신 기술 동향을 발표했다.
  외부·내부선량평가 세션에서는 일본·중국·한국의 연구기관들이 참여하여 내부피폭 평가 코드 개발, 요오드 모니터링 장비 교정, 이동형 생체시료 분석 시스템 등 실제 비상 대응 현장에 적용 가능한 기술을 공유했다.

  EPR 및 외부·내부선량평가 세션에서는 프랑스 원자력안전 및 방사선보호청(ASNR)의 Francois Trompier 박사가 스마트폰 유리 기반 EPR 선량평가 기술을, 동남권원자력의학원 김효진 박사가 국내 EPR 연구 현황 등을 각각 발표하며 첨단 물리선량평가 기술을 논의했다. 생물·외부선량평가 융합 세션에서는 인도네시아, 필리핀, 태국, 일본, 한국 등 아시아 각국의 방사선 측정 인프라와 비상대응 사례가 공유되었다.

   올해 연차회의는 통합선량평가를 중심 주제로 아시아 지역의 방사선 재해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국제 네트워크를 공고히 하는 뜻깊은 자리가 되었으며, 동남권원자력의학원은 이번 회의를 계기로 국제 표준 기반의 물리 및 생물선량평가 연구를 선도하는 글로벌 협력 허브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더욱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