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9 (월)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한국 줄기세포 기술경쟁력, 미국 잡았다

진흥원, ‘줄기세포 특집 ‘BT전략 이슈리포트 제3호’ 발간

우리나라 배아줄기세포의 기술수준은 80.5%로 이미 최고기술 경쟁력 보유국인 미국 수준에 근접했다는 결과가 나왔다.
 
특히 성체줄기세포 중에서는 골수유래 조혈줄기세포(75.9%), 제대혈 유래 조혈줄기세포(74.7%), 골수유래 간엽줄기세포(74.3%)의 기술수준이 상당 수준에 올라와 있다는 평가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최근 발간된 ‘줄기세포 기술경쟁력현황 및 대응전략’ 보고서를 통해 국내 줄기세포 전문가 델파이 조사에 의한 2006년 줄기세포 기술 경쟁력 결과를 발표했다. 
 
세부기술 중에서는 *수정란으로부터 줄기세포제조기술(82.7%) *수정란보존기술(81.0%) *체세포핵이식방법/장치(81.0%) *복제동물(79.0%) 등 줄기세포 확립 및 복제 관련 기술들이 상위기술수준으로 평가 받았다. 
 
하지만, 줄기세포의 분리/제조기술 분야의 기술수준은 72.1%, 응용기술 분야와 배양/측정기술 분야의 기술수준은 65.8%, 분화기술과 신약개발응용기술의 기술수준은 60% 미만으로 평가돼 전반적으로 기술분야 간 불균형이 심한 것으로 지적됐다.
  
또한, *역분화방법(48.9%) *분화세포 이용 화합물 스크리닝시스템(51.0%) 등 분화 및 신약개발 관련 기술이 전반적으로 기술수준이 낮아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전략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국내 줄기세포 기술수준은 65.1%로 세계 7위 수준이었으나, *정부지원(56.3%) *관련제도(54.0%) *물적인프라(58.2%) *전문인력(62.3%) *산업화(58.4%)의 경쟁력저하로 인해 기술경쟁력(60.7%)이 뒤쳐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 같은 결과에 대해 진흥원은 줄기세포 기술수준의 불균형 현상을 개선하고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학제적 연계를 통한 원천기술 확보 *줄기세포 임상연구의 체계적 추진 *국가적 차원의 줄기세포 연구인프라 구축 *합리적 규제 및 국민과의 대화 강화 등 4대 전략의 추진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진흥원은 관심있는 연구자 및 일반인들이 열람할 수 있도록 ‘줄기세포 기술경쟁력 현황 및 대응전략’ 보고서를 홈페이지(www.khidi.or.kr )를 통해 공개하고 있다.  
 
이상훈 기자(south4@medif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