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9 (수)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GSK, HIV연구물질 CCR5 길항제 데이터 발표

제12차 레트로바이러스 및 기회감염 회의에서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은 새로운 HIV 치료물질 873140의 임상진행과 관련된 새로운 데이터를 발표했다.
 
873140은 현재 HIV 감염 치료제로 개발중인 새로운 세포화학수용체(CCR5) 길항제로 이번 결과는 미국 메사추세츠주 보스톤에서 열린 제 12차 레트로바이러스 및 기회감염 회의에서 발표되었다.
 
한 연구에 따르면 873140은 인간 CCR5 상호 수용체와 근본적이고 지속적으로 결합하여 반복투여 치료를 중단한 후에도 24시간에서 48시간까지 바이러스가 지속적으로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한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한 별도의 연구에서는 873140을 HIV 치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칼레트라(로피나비어/리토나비어)와 병용 투여하였다.  873140은 내약성이 뛰어났고 부작용도 경미했다. 
 
GSK의 감염질환의약품개발센터 원장이자 수석부사장인 린 막스(Lynn Marks) 박사는, “HIV 감염환자들을 위해 새롭고 강력한 항레트로바이러스 물질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며, CCR5 길항제인 873140은 현재 승인받은 대부분의 HIV-1 감염 치료제들과는 달리, 감염후 바이러스 효소 억제가 아닌 바이러스 침입 단계를 목표로 하며, 이번에 발표된 새로운 데이터에 따라, 873140의 개발이 한 단계 더 진전하게 되었으며, HIV에 감염된 사람들에게는 새로운 치료제를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수 있게 되었다”고 말했다.  
 
CCR5 길항제는 새로운 계열의 HIV 치료제로, 현재 시판중인 다른 항레트로 바이러스로는 개척하지 못한 HIV의 라이프사이클 단계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CCR5 상호 수용체는 바이러스 전파 및 진행에 관여하는 HIV 균주의 주요한 상호 수용체로 HIV 치료의 흥미로운 목표가 되고 있다.
 
873140은 면역세포의 CCR5 상호 수용체와 결합하여 수용체의 작용을 차단함으로써 HIV의 세포 결합, 침입 및 감염을 예방하며, 기존의 항레트로바이러스 제제들과 병용하여 복용하는 HIV/AIDS 치료제로 개발되고 있는데 GSK가 2002년 오노 제약사로 부터 전세계 마케팅 및 영업 라이센스를 획득한바 있다.
 
[873140의 CCR5 결합 연장]
873140은 같은 용량을 반복투여 했을때 HIV 양성 및 음성 환자들에서 근본적이고 지속적인 CCR5 수용체 결합을 나타냈으며, 혈장의 약물 수치가 감지되지 않는 마지막 약물 투여 후 시점에서, 유의할만한 CCR5 수용체 결합(>50%)이 약 5일 동안 관찰되었다.
 
지속적인 CCR5 수용체 결합은 HIV에 감염된 환자들에게 873140를 투여했을 때 보이는 지속적인 항레트로바이러스 효과의 잠재적 매커니즘을 나타내며, 이번 결과에 따라 873140에 대한 시험은 계속 진행될 예정이다.
 
[건강한 피험자들에서 873140과 칼레트라(Kaletra)의 약동학적 상호작용]
GSK는 873140과 칼레트라(로피나비어/리토나비어)를 병용투여 했을 때의 안전성과 내약성 뿐만 아니라 두 약물간에 나타날 수 있는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반복적으로 이 두 약을 함께 복용했을 때, 혈장 내 873140의 농도가 유의하게 증가했는데, 이는 칼레트라와 병용투여 시 873140의 용량을 줄일 수 있음을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873140과 칼레트라는 병용투여 했을 때 약과 관련하여 투약을 중지하는 일 없이 일반적으로 내약성이 뛰어났으며, 가장 흔한 부작용으로는 치료 1일에서 3일 내에 사라지는 1급 위장장애에 대한 호소가 있었고 여러 건의 임상시험에서 873140과 칼레트라는 병용투여 시 안전성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에 따라 리토나비어 강화 단백질 분해효소 억제 치료제와  873140의 병용요법에 대한 평가도 계속 진행할 수 있게 되었다. (www.medifonews.com)
 
강희종 기자(hjkang@medifonews.com)
 
2005-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