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다수 제약사들이 “우리회사는 품질관리를 충분히 하고 있기 때문에 약화사고로 인한 배상책임에 전혀 문제가 없다”고 생각하고 있어 향후 의약품의 PL(Product Liability, 제조물 배상) 위험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방재연구소 방종민 선임연구원은 27일 제약협회 대강당에서 열린 ‘약화사고 동향과 제약사의 PL대책’ 세미나에서 이같이 밝히고, “각 기업은 PL 사고 예방 및 방어를 위한 위기관리 프로그램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방종민 연구원은 이날 발표에서 “국내도 제조물책임법 시행 이후 제조사를 상대로 하는 소비자들의 활동이 인터넷, 단체화 등으로 인해 집단화 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에 따라 PL 소송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또 정부도 일괄분쟁조정제, 소비자단체소송 등 소비자보호법개정과 입증책임 전환등 제조물책임법 개정 논의 등을 추진하고 있어 기업의 제조물 배상에 대한 규제가 더욱 강화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방 연구원은 “국내뿐 아니라 PL 소송의 증가는 세계적 현상이라며, 바이엘의 경우 2001년 콜레스테롤 강하제 ‘Baycol’ 부작용으로 인해 7800억원의 약품 회수 비용과 그해 수익의 45% 급락, 1800명 감원 등 창사 138년 만에 최대 위기를 맞기도 했다고 소개하고, 이와 같은 PL 소송이 미국, 프랑스, 독일 등 전세계에서 끊임없이 집단소송 형태로 나타나고 있어 많은 다국적 제약사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방 연구원은 이러한 대형 PL 사고를 방지하고 방어하기 위해서는 *사용원료, 재료,첨가물 적법성을 반드시 확인하는 관련 법규의 준수 *품질관리기준의 철저한 준수 *제품 포장의 관리 강화 *문석 작성과 보관의 적정화 *불만사항 등에 대한 정보의 적극 활용 * PL 보험의 가입 등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또한 *제품 위험성에 대한 종합적인 재검토 *부품 검수 및 건사 강화 *동향 입수 체계 확보 *의기 관리 프로그램 준비 등도 준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방 연구원은 PL 사고 이후 위기관리에 대해 “사고를 재빨리 감지하고 비상수단을 강구해야만 그 파급효과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며 “이러한 위기의 예지는 정보의 수집량과 수집범위에 따라 좌우되므로 전기적인 감사와 위기 요인별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두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사고 발생 즉시 최고 경영자와 관계부서에 전달할 수 있는 핫라인 구축과 사고 수습을 위한 현장 권한 부여 및 시나리오에 따른 경로별 차단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매뉴얼에 다른 홍보체제와 정보의 일관성을 유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는 사고 직후의 홍보활동이 향후 법적 소송에서 선의의 책임을 다했는가의 판단의 근거가 되기 때문이라고 조언했다.
또 사고 수습에 있어 CEO와 같은 비중 는 책임자가 전면에 나서 자리를 걸고 사고 수습을 주도하는 것이 소비자에 신뢰를 줄 수 있는 요인이라고 밝혔다.
이영수 기자(juny@medif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