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신증권은 3일 한미FTA 타결과 관련, 제네릭 의약품 위축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했다. 강승건 연구원은 “의약품 분야의 핵심쟁점 사항은 신약최저가 보장과 지적재산권강화를 통한 특허권의 연장이었다”며 “신약최저가 보장은 막았지만 지적재산권 강화는 미국측 요구가 대부분 수용됐다”고 전했다. 강 연구원은 지적 재산권의 강화로 “제네릭 의약품 위축은 불가피할 전망”이라며 “특허권자의 소송으로 제네릭 의약품 허가 지연, 품목허가 절차에 소요되는 기간의 특허기간 연장, 자료독점권 인정은 오리지널 의약품의 특허를 연장해주는 효과로 제네릭의 개발비용 증가와 출시시기 지연을 가져오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는 제네릭을 성장 전략으로 선택하고 있는 국내 제약 회사들의 성장 둔화를 불러올 전망”이라며 “전문약 광고 허용과 GMP. GLS 및 제네릭 의약품 상호인정은 투자 여력이 있는 상위 제약사와 투자여력이 없는 하위 제약사간의 격차를 더욱 크게 만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영수 기자(juny@medif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