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의를 표명한 유시민 보건복지부 장관의 거취를 둘러싸고 범여권이 혼선을 빚고 있다. 노무현 대통령이 명확한 입장 표명을 유보한 가운데 유 장관 소속인 열린우리당 내에서도 사의 수용 여부에 대해 찬반이 엇갈리고 있다.노 대통령은 유 장관이 지난 6일 사의를 표명한 직후 “알았다. 두고보자”고만 말했을 뿐 지금까지 가타부타 언급을 하지 않고 있다.유 장관은 8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한·중·일 보건장관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노 대통령께서는 생각해 본 뒤 (반려 여부를) 이야기할 테니 그 때까지는 주어진 업무를 충실히 하라고 말씀하셨다”며 “장관직을 수행하는 마지막 날까지 충실히 수행할 마음의 자세를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그는 “(장관직을 그만두고)그 뒤에 무엇을 할 것인가는 천천히 생각해 보겠다”며 “국회의원으로서 직분을 다하는 것이 중요하겠지만 이런 저런 생각은 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노 대통령은 우선 국민연금법 개정문제를 매듭짓고 사의 수용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현 상황에서 복지부 장관을 교체할 경우 국민연금법 개정문제가 차질을 빚을 수 있고 후임 장관에게도 큰 부담이 될 수 있다”며 “사의를 받아들이더라도 국민연금법 문제가 해결된 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그러나 정치권이 국민연금법 처리에 성의를 보이지 않을 경우 노 대통령이 기초노령연금법에 대한 거부권 행사와 함께 유 장관 사퇴 반려를 통한 정치적 승부수를 띄울 가능성도 있다.상당수 열린우리당 의원들은 친노 세력의 대표주자인 유 장관이 복귀할 경우 통합신당 추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추가 탈당의 빌미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반대하고 있다. 오영식 전략기획위원장은 “당에서도 성급한 거취결정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은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에 한 친노의원은 “정치적 도의적 책임을 지고 복귀하는 만큼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밝혔다.한나라당은 유 장관 사퇴는 중립내각 구성을 위해 환영할 만한 일이나 한나라당을 국민연금법 개혁 반대세력으로 몰아붙여 대선판을 흔들려는 의도가 있다며 의구심을 나타했다. 유기준 대변인은 “정치적 꼼수는 그만하라”면서 “다른 정치적 노림수를 위한 정지작업이라는 의혹도 있는 만큼 즉각 물러나라”고 촉구했다.
메디포뉴스 제휴사-국민일보 쿠키뉴스 김영석 김도훈 기자(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