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9 (수)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정부차원 바이오신약 정책지원 인프라 조성

복지부 산자부, 신약개발 차세대 성장산업 육성책 제시

정부 차원에서 바이오 신약개발을 육성하려는 분위기가 무르익고 있다. 바이오 신약을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선정하고 이를 구체화 하기 전략으로 최근 산자부가 코리아바이오허브센터를 설립하고 바이오스타 프로젝트를 추진키로 함으로써 이러한 조치가 시의적절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산자부가 지원하는 서울대 코리아바이오허브센터는 향후 생명현상의 근본적인 메커니즘을 과학적으로 연구하고 증명하여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기반기술을 관련 산업계에 제공할 계획이어서 향후 추이가 주목되고 있다.
 
이러한 정책 추진은 앞으로 차세대 성장동력인 제약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산자부가 바이오스타 프로젝트에 10년간 2600억원을 투입, 글로벌 바이오스타 제품의 사업화를 추진키로 하고 후속 작업에 나서고 있어 본격 추진이 기대된다.
 
산자부에 이어 복지부도 바이오 기술산업을 국가중심산업으로 육성 하겠다는 의지를 밝혀 바이오 신약개발에 대한 정부 차원의 인프라 기반이 확산될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어 추이가 주목되고 있다.
 
김근태 복지부장관도 지난 9일 IT(정보기술)산업에 이어 BT(바이오기술) 산업을 국가중심산업으로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히는 등 바이오 신약개발에 대한 정책추진 방향이 서서히 잡혀가고 있어 분위기가 무르익고 있는 실정이다.
 
제약업계는 이제는 복지부와 식약청이 앞장서 신약개발 전략에 시동을 걸어주기를 기대하고 있다. 업계는 그동안 신약개발 투자자금을 꾸준히 증가해 왔고 출연기관을 통해 연구개발에 필요한 자금을 펀드형식으로 지원해 오고 있으나 보험약가 정책등 관련 정책들이 어려움을 겪을 정도로 규제를 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급히 개선되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는 신약개발이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선정됐음에도 불구하고 아직은 전략적 육성 대책에 대한 복지부의 세밀한 인식이 부족하고 제약산업을 보건 의료서비스 분야의 인프라로 보는 시각을 바꿔 국가 경쟁력의 중요한 요소로 보는 산업 마인드를 가져주기를 업계는 바라고 있다.
 
제약업계는 정부의 바이오 신약개발 정책에 긍정적으로 화답하기 위해 경영난의 어려움 속에서도 5백억~6백억원을 투자하여 수천억원의 수익을 창출하는 개량 신약 개발 전략을 추진하고 있따.
 
특히 개량 신약을 통해 벌어들이는 이익은 종자돈으로 재투자되고, 신약개발 경험으로 잘 쌓으면 혁신적인 신약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현재 임상중인 신약은 30개, 물질탐색 중인 것은 23개, 이미 제품으로 시판되고 있는 신약도 9개에 이르고 있으며, 새로운 신약으로 올해도 2~3개가 선보일 예정으로 있어 날로 신약개발에 대한 기대는 커지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를 감안, 복지부는 업계의 노력이 결실을 볼 수 있도록 유연한 약가 정책을 마련해야 하며, 정부는 약가를 인하하면 보험재정이 절감될 것이라는 좁은 시각으로 약가를 규제해서는 안된다는 시각이 업계 내부에서 확산되고 있다.
 
제약업계는 신약개발이 15년이라는 세월이 걸리면서도 성공할 확률은 희박한 프로젝트로 도박에 가깝다고 할 수 있는 사업이라는 점에서 정부가 연구개발 투자비 전액에 대해 세금혜택을 부여하는 세제 인센티브 전략으로 제약기업들이 신명나게 연구개발에 투자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요청하고 있다.
(www.medifonews.com)
 
강희종 기자(hjkang@medifonews.com)
2005-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