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부패방지위원회(부방위)의 의약품 거래에 따른 리베이트 조사설이 나돌면서 병•의원, 문전약국과의 거래에서 사후% 리베이트 제공여부가 중점조사 될것이라는 단속설까지 나오고 있다.
도매업계는 그동안 분업이후 대형약국인 문전약국의 거래에서 불공정거래 행위가 많았을 것이란 관측에서 이러한 조사설이 나돌고 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특히 금년들어 부패방지위원회가 의약품 불공정 거래행위를 개선하기 위한 제도개선을 복지부에 권고하고 복지부도 이와함께 의약품 구매카드 제도 도입등 뒷거래 비리를 원칙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어 제약-도매업계가 제도개선 향방의 추이에 주목하고 있다.
도매업계는 대형병원 문전약국의 매출 규모가 최소한 연간 20~30억원 이상의 규모가 된다는 점에서 거래를 위해 경쟁적으로 3~5%의 리베이트를 제공해온 것으로 알려져 업소간에 출혈경쟁이 벌어지는등 갈등을 빚어왔다.
도매업계 한 관계자는 “그동안 리베이트를 제공해온 사실을 인정하나 경쟁적으로 거래를 유지하기 위해 어쩔수 없었던 부분이 있었다”면서 “법적•제도적으로 리베이트를 주지 못하도록 되었으면 좋겠다”고 하소연 하고 있다.
도매업소 관계자의 이 같은 반응은 사실상 도매업소의 유통마진이 상당히 축소되고 있고 매출액 대비 순이익이 1~2%도 나오지 않는 현실에서 무리한 출혈경쟁으로 도매업소의 경영난이 더욱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과 맥을 같이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매업소들은 문전약국에 리베이트를 사후%로 제공하고 있으나 세무처리에서 상당히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어떤 형태로든 리베이트가 현실화 되든지 아니면 불법화 되어 강력히 처벌하던지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을 바라고 있다.(www.medifonews.com)
강희종 기자(hjkang@medifonews.com)
2005-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