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2 (금)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기관/단체

차기 복지부장관, 전재희 의원-김성이 교수 ‘물망’

이명박 대통령 당선자가 성장과 민간의 자율을 중시하고 있는 만큼 이같은 철학을 뒷받침할 수 있는 인물들이 사회부처 요직으로 발탁될 것으로 보인다. 이 당선자의 복지, 교육, 노동·환경 공약들을 마련하는데 직·간접적으로 참여했던 당내 인사나 자문 교수들이 중용될 가능성이 높다.

차기 정부의 복지정책을 총괄하는 보건복지부장관에는 한나라당 전재희 의원과 김성이 이화여대 교수가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전 의원은 한나라당 정책위 의장을 지냈으며 이번 대선과정에서 이 당선자의 공약을 준비한 당 일류국가비전위원회 부위원장을 맡아 복지공약 개발을 이끌었다. 재선의원인 전 의원은 17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서 활발한 의정활동을 펼쳤으며 입각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 교수는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회장을 맡고 있으며 이번 대선에서 한나라당 선거대책본부 복지분야 공동선대위원장을 맡아 현장의 목소리를 이 당선자에게 전달했다.

이 당선자의 '싱크탱크'인 국제정책연구원(GSI)이 그의 복지정책 마스터플랜을 짜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면서 이 연구원을 이끌고 있는 이봉주 서울대 교수(사회복지학)와 이 당선자의 정책자문단에서 활동한 홍두승 서울대 교수(사회학) 등도 후보군에 포함될 수 있다.

교육정책의 대대적인 변화가 예상되는만큼 현 김신일 교육부총리의 퇴진은 불가피한 상황이다. 역대 교육부총리는 김 부총리를 비롯해, 안병영 전 부총리 등 일반적으로 대학교수 출신들이 많았다. 그러나 정치인 출신인 이해찬 전 부총리와 경제부총리 출신인 김진표 전 부총리의 사례처럼 정책적 변화가 필요한 시점에는 종종 비교육계 출신 부총리가 탄생하기도 했다. 김병준 전 부총리처럼 대통령의 실세측근이 기용되기도 했다.

정권 초기인 만큼 대통령 인수위원장으로 물망에 오르고 있는 박세일 서울대 교수, 어윤대 전 고려대총장, 정운찬 전 서울대 총장 등이 후임 교육부총리로 거론된다. 국회 교육위원장인 한나라당 권철현 의원도 하마평에 오르고 있다. 반면 이 당선자가 실용을 중시하는 것을 감안하면 교육계에 몸담지 않았던 의외의 인물이 발탁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이다.

노동부의 경우 새 정부의 대부(大部) 체제 개편 구상에 따라 폐지가 거론되고 있어서 독자 생존여부가 불투명하다. 하지만 새 정부의 노동정책 수장으로는 이용득 한국노총위원장이 후보로 떠오르고 있다. 그러나 민주노총을 비롯한 범노동계의 반발 등을 감안할 때 가능성이 높지는 않아 보인다. 현 공직자 가운데는 김원배 근로복지공단 이사장이 거론된다. 성품이 원만한 김 이사장은 이 당선자와 인연이 많지는 않지만 성실한 인물로 정평나 있다. 하지만 새 정부의 대부(大部) 체제 개편 구상에 따라 폐지가 거론되고 있는

환경부 장관으로는 정치인보다는 관료출신이 발탁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이럴 경우 호남 출신으로 재임중 평이 좋았던 이만의 전 차관이나 고재영 한국환경자원공사 사장 등이 거명된다. 학자 중에서는 이 당선자에게 정책 자문을 해 온 것으로 알려진 유우익 서울대 지리학과 교수, 경부대운하 찬성 논리를 펼쳐 온 박석순 이화여대 교수 등이 알려져 있다.

메디포뉴스 제휴사-국민일보 쿠키뉴스 라동철 기자(rdch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