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6일 인천지역에서 근무중인 공중보건의 27명이 동시에 집단 전역을 하지만 신규 공중보건의 충원이 제때 이루어지지 않아 공중의료 공백이 우려되고 있다.
2일 인천시에 따르면 시내 보건소 및 보건지소 등에 근무하는 98명의 공중보건의 중 27%에 해당하는 27명이 오는 6일 복무를 마치고 전역할 예정이다.
그러나 신규 공중보건의가 충원되는 시점은 오는 24일로 18일간의 의료공백을 피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같은 의료공백 원인은 국방부 방침에 따라 지난 2006년부터 공중보건의 입영시점이 20여일 늦어졌기 때문이다.
이에따라 인천시는 보건소를 이용하는 지역주민들의 불편과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순회진료 실시 등 대책마련에 나서고 있으나 노인들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농어촌 주민들의 불만과 불안이 큰 실정이다.
인천시는 공중보건의의 집단제대에 따른 의료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순회진료 실시, 만성질병 등 장기 투약자는 처방일수 늘려 처방, 기간제 채용 등 대책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보건지소를 찾는 노인들의 경우 만성질환자가 대부분으로 거의 매일같이 치료를 받으러 오는 경우가 많은데다 당장 진료에 차질이 빚어지지 않더라도 노인들의 심리적 불안감 등은 커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입영시점 변경시기에 배치된 공중보건의의 복무기간 3년이 만료되는 내년부터는 이같은 현상이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현재에도 공중보건의 부족으로 과중한 업무부담이 있는 상황에서 의학전문대학원 도입과 여성의사 비율 증가에 따라 공중보건의 감소현상은 지속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인천시 관계자는 “비록 공중보건의 27명이 전역하지만 남은 71명으로 순회진료를 할 예정이고 기간제 공중보건의를 채용하기 하기 때문에 별다른 의료공백은 없을것으로 보인다”며 “최선을 다해 불편을 최소화 시키겠다”고 말했다.
메디포뉴스-국민일보 쿠키뉴스 제휴사/경기일보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