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평원은 2009년 상반기 의약품바코드 부착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지난해 하반기보다 오류율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고 밝혔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송재성)은 2008년도에 이어 ‘09년도 의약품 바코드 실태조사를 지난 6월9일, 10일, 16일, 3일간에 걸쳐 실시했다. 2009년도 조사방향은 보다 많은 품목수를 대상으로 외부포장 및 외부포장이 없는 직접용기에 바코드 표시 여부를 조사했다.
심평원은 “본 조사에 앞서 7개 의약품 도매상의 협조를 얻어 사전 모니터링을 실시했다”며 “이를 토대로 실제 조사에서는 3개 도매상을 직접 방문 조사함으로써, 이전 조사에 비해 약 5배인 총 1만1915품목을 조사했다”고 말했다.
조사 결과, 지난해 하반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품목 수를 조사했음에도 불구하고, 적발된 업체 수는 109개 업체에서 91개 업체로 줄어들었다. 또한, 오류 품목수는 342건으로 작년 하반기 오류율 17.6%에 비해 14.7%p 감소한 2.9%로 나타났다.
오류 유형별로는 바코드 미부착 12건(0.1%), 잘못된 바코드 부여 및 부착 8건(0.1%), 리더기 미인식 256건(2.1%), 2차원 바코드 가독문자 표기 오류 71건(0.6%)이었다.
정보센터는 “바코드 오류율의 커다란 감소는 그간 제조ㆍ수입사에 반복적인 교육 및 홍보를 통해 바코드 표시를 의무사항으로 인지시키고 개선토록 유도와 바코드 미부착 이외에도 미인식 및 오인식에 대해서도 행정처분이 강화됨을 홍보한 결과로 보여 진다”고 분석했다.
또한, 2009년부터 의약품 표준코드를 이용해 의약품 바코드를 표시토록 했다. 이의 준수 여부를 조사한 결과에 있어서도 대상 업체 266개소 중 209개소인 78.6%에서 준수하고 있었으며, 품목수는 5066개인 42.5%에서 표준코드에 의한 바코드를 표시하고 있었다.
다만, 업체별로 표준코드를 이용한 바코드 부착율이 50% 미만인 제조ㆍ수입사가 54%인 113개소로 바코드 제도의 빠른 연착륙을 위해서는 업체의 지속적인 관심과 협조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바코드 실태조사의 품목별 오류에 대한 사항은 관련 협회와 해당 제약ㆍ수입사로 통보될 예정이다.
정보센터는 “오류 유형 중 바코드 미부착에 대해서는 보다 세부적인 검증을 거쳐 행정처분을 의뢰할 예정이고, 잘못된 바코드 부여 및 부착, 리더기 미인식 등의 오류 유형에 대해서는 올해 하반기부터 점차적으로 행정처분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09년 하반기 바코드 실태조사에서는 도매상은 물론 의약품바코드로 물류를 관리하고 있는 요양기관의 협조를 받아 더 많은 품목수와 직접 용기에 바코드 표기까지를 조사범위에 포함할 예정이다.
최유천 의약품정보센터장은 “의약품바코드 표기가 빠른 시일내 정착돼 다행”이라며, “바코드가 물류비용과 환자안전 관리에 매우 중요하므로 각 제조․수입사에서는 ‘09년1월1일 이후 생산한 제품에 대해 표준코드를 사용한 바코드 부착 준수를 철저히 해 줄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