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6 (일)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기자수첩

신종플루 사망자 발생, 남은 과제는?


신종플루로 인해 이틀 새 두 명의 환자가 사망했다. 지난 5월 신종플루가 국내에 처음 상륙한 이래 약 석 달여 만의 일이다.

해외에서 바이러스에 노출된 환자 뿐 아니라 해외여행 전적이 없는 지역사회 감염 환자의 죽음으로 전국은 신종플루 공포에 휩싸이고 있다.

정부는 사망자가 나온 이제야 신종플루 거점병원. 약국 등을 지정, 운영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신종플루 환자에 대해 항바이러스제 투약 등으로 초기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질책을 피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

특히 감염경로가 불분명한 지역사회 감염의 창궐 등으로 일반 의료기관의 신종플루 감별에 한계가 있다는 사실이 이번 두 환자의 사망을 통해 입증된 이상 정부는 보다 현실성 있는 예방책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이미 일선 의료기관에서는 신종플루의 확산 당시 심증 의심환자가 있어도 진단키트 및 확진에 필요한 시스템이 전무해 보건소로의 전원 등의 어려움을 호소한 바 있다.

또한 1차의료의 전방위를 담당하고 있는 의료진 사이에서는 타미플루의 투약시기 및 효과, 보건소 전원 기준의 모호함에 어리둥절해 하고 있다.

정부는 이러한 점에 대해서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신종플루 예방수칙에 대한 대국민홍보 뿐 아니라 의료진의 신종플루 대응 교육에도 만전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의료기관 역시 신종플루의 국가방역사업에도 적극 동참한다는 취지하에 보건당국과 긴밀한 협조를 통해 국민들의 건강수호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신종 유행병이 창궐할 때마다 책임을 전가시키기 바쁘고 허둥대기 일쑤였던 보건당국이 아니라 예방대책 마련과 시의적절한 대처법을 제시하는 현명한 판단을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