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제약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제품이나 품질 경쟁 보다 제네릭의약품 위주의 차별성 없는 제품 생산을 통한 과당경쟁을 벗어나야 한다는 지적이다.
최근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발간한 보건백서에 따르면 국내 제약산업은 지나치게 국내시장에 안주한 면이 없지 않고 비윤리적 영업관행 등으로 산업구조의 고도화가 어려운 실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진흥원은 “산업구조의 변화 없이 정부지원만을 강화하는 정책개선으로는 제약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판단했다.
먼저, 국내 제약산업이 극복해야 할 문제점은 기업의 영세성으로 인해 신약개발을 위한 임계규모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꼽혔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의 조사에 의하면 국내용 신약개발에 필요한 적정한 임계규모는 연구원 200~300명 이상과 연간 연구비가 300~500억 원 이상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국내 제약기업 중 이러한 임계규모를 넘는 기업은 현재 2~3개에 불과한 실정이다.
또한, 진흥원은 국내 제약산업의 문제점으로 제네릭의약품 위주의 과당경쟁을 꼽았다.
진흥원은 “국내 제약산업의 구조는 제품-품질 경쟁 보다 제네릭의약품 위주의 차별성 없는 제품 생산을 통해 과당경쟁을 보이고 있다”며 “예를 들어 보험등재 품목 중 동일성분 의약품이 2개 이상인 품목이 약84%이고 지난해 기준으로 보험등재의약품(1만5223건) 중 97.9%가 제네릭의약품”이라고 말했다.
즉, 이처럼 제품 간 차별성이 없어 결국은 내수 영업 경쟁에 승부를 걸 수밖에 없는 구조가 되었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제약회사에서 리베이트 문제가 발생한다는 진단이다.
진흥원은 “현재의 제약산업 구조하에서는 혁신적 신약을 개발하고 해외마케팅을 할 수 있는 글로벌기업 배출이 어려운 여건에 있다고 본다”면서 “제약산업이 미래의 핵심전략산업으로 발돋움하기 위해서는 앞서 지적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국제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산업 선진화 정책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제언했다.
이를 위해 무엇보다도 의약품 유통정보와 건강보험 청구자료의 연계 분석을 통해 의약품 거래행태를 분석하고 실제 거래 가격을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다.
진흥원은 “유통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제약사, 도매상 등 공급자와 의사, 약사, 한의사인 수급자의 불법 거래에 대한 처벌규정을 명확화하고 지속적으로 강화해 산업투명성을 제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진흥원은 “제약기업은 정부보다 더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 산업 투명성 제고 및 신약개발을 위한 R&D 투자를 확대하는 노력이 더욱 필요한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조만간 블록버스터 의약품이 대거 특허만료됨에 따라 제네릭의약품에 대한 새로운 시장 창출이 예상된다. Stanford C.Bemstein &Co에 의하면 2007~2012년간 블록버스터 특허만료로 670억 달러규모의 시장이 창출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