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9 (수)

  • 구름많음동두천 20.9℃
기상청 제공

기관/단체

여름만 되면 찾아오는 불청객, “백선증”

7~8월 백선증 환자 50만명 이상, 더운 날씨와 땀이 원인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윤구)이 2005~2009년 5개년의 ‘백선증’에 대한 심사결정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백선증(B35)’의 최근 4년간 진료인원 및 총진료비는 연평균 1.9%, 2.0%씩 증가하고 있어 증가추세는 낮은 편이다. 월별 추이를 분석한 결과 매년 7~8월에 연중 최다 진료인원을 기록하는 것으로 나타나, 여름철에 특히 주의를 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백선균의 감염을 유발, 촉진하는 인자는 고온다습한 기후, 작업환경, 땀, 영양불량, 감염자와의 접촉 등이 있다.

여름철에 특히 진료인원이 많은 이유는 백선균이 활동하기 좋은 고온다습한 계절이며, 땀을 많이 흘리고, 공중목욕탕 및 수영장 등 공동장소에 사람이 많이 모여 쉽게 전염이 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진료인원은 2005년 221만명에서 2009년 238만명으로 4년간 17만명, 연평균 약 4만 2천명씩 증가했으며, 총진료비는 2005년 607억원에서 2009년 640억원으로 4년간 33억원, 연평균 약 8억 2천만원씩 늘어났다.

성별 분석결과 최근 5개년의 진료인원은 남성이 다소 많았으나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아, 여성 또한 남성 못지 않게 백선증 감염에 주의해야 하는 것으로 보인다.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백선증은 손발톱 백선증으로, 남성이 53만명, 여성이 62만명으로 여성 진료인원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흔히 남성들의 질병으로 잘 알려진 발 백선증(무좀)은 남성이 43만명, 여성이 35만명으로 남성 진료인원이 더 많았으나, 여성의 발 백선증도 전체 여성 진료인원의 30.4%를 차지하고 있어 남성 백선증의 점유율(31.9%)과 큰 차이가 없는 것을 볼 때, 여성도 무좀을 주의해야 한다.

여성의 무좀이 비교적 큰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이유에는 하이힐과 스타킹이 주요 원인이다. 폭이 좁은 신발은 발가락 사이를 비좁게 만들어 마찰을 유발하며 구두를 신을 때 착용하는 스타킹은 통풍이 잘 안되기 때문에 무좀균이 서식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