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0 (화)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해외뉴스

중국 당뇨환자 세계 최다…3년후 당뇨시장도 최대

당뇨 초기증세 환자 무려 1억5천만명 추산돼 전세계 눈독

중국이 제2형 당뇨환자 인구로 세계 1위를 차지하게 되었고 2014년까지 제2형 당뇨 치료제 시장은 2009년 14억 달러에서 25억 달러로 증가할 것이라고 시장조사 분석회사인 디시젼 리소시스(Decision Resources)가 보고서를 내놨다.

이 보고서에 의하면 현재 중국은 제2형 당뇨환자 수가 세계 최고일 뿐 아니라 치료약 시장 역시 미국, 일본 다음으로 세 번째 거대 시장을 보이고 있다는 것. 이 시장은 2009-2014년 기간에 매년 13%씩 성장할 것이므로 미국이나 일본에서의 기대 성장률을 훨씬 상회한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특히 중국 의약품 시장은 최근 서구로부터 고가의 브랜드 의약품 출시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DPP-IV 차단제인 머크의 자누비아(sitagliptin), 노바티스의 갈부스(vildagliiptin), BMS/AZ의 옹라이자(saxagliptin) 3종이 도입되고 GLP-1(glucagon-like peptide-1) 계열로는 릴리/아밀린/알컴사의 바이두레온(exenatide 서방정), 노보 놀디스크의 빅토자( liraglutide) 2종이 출시되고 있어 2009-2014년 이 두 종의 매출은 2억 7000만 달러로 예상하고 있다.

중국 경제성장과 국민 의료보험 확대 개선으로 국민의 보건의료 접근이 증가되고 고가의 브랜드 약 사용 능력도 향상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제2당뇨 치료에서 멧포르민(metformin)이 중국에서 저가이며 잘 알려진 약이므로 가장 널리 처방되고 있으나 새로운 DPP-IV 차단제나 GLP-1 작용 약물도 제2, 3 차 치료에 널리 이용되고 있고 고가의 서양 상표 당뇨약 사용이 계속 증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지난 달 중국 총 의약품 사용액(약 240억 달러) 중 13%가 당뇨 치료제였으며 현재 진단받지 않은 5천만 명의 당뇨환자가 앞으로 10-20년에 걸처 치료받을 경우 당뇨 치료제 지출은 엄청나게 증가될 것이라고 중국의학협회의 중국당뇨학회와 국제당뇨연맹의 보고에서 지적하고 있다.

금년 초 의학 학술지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NEJM)의 보고에 의하면 중국 성인 당뇨환자는 9240만 명으로 이전 예상보다 2배 높게 나타났으며 거의 1억 5천만 명이 당뇨 초기증세를 보이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