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복제와 배아줄기세포 연구분야의 세계적 권위자 3명이 서울에 모여 황교수를 중심으로 복제에 관한 공동연구를 하게 된다.
미국 피츠버그의대 제럴드 섀튼 교수가 황 교수를 만나기 위해 지난1일 방한, 황교수와 이미 연구작업에 들어갔으며, 영국 에든버러의대 이언 윌머트 교수도 3일 입국해 황교수팀과 연구를 시작할 예정이다.
섀튼 교수는 배아줄기세포 연구의 세계적인 권위자로 지난 2000년 원숭이 복제에 최초로 성공했으며, 지난 5월 사이언스에 실린 황 교수 논문의 공동저자이기도 하다.
세계 최초로 복제양 돌리를 탄생시킨 윌머트 교수는 황 교수팀과 신경퇴행성 질환인 ‘루게릭병’을 배아줄기세포 기술로 치료하는 방법을 찾기 위한 공동연구를 협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회동에서는 3자간 배아줄기세포 분화와 면역거부반응 해소 연구를 비롯한 영장류 복제 등을 포함한 공동연구 과제가 폭넓게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오는 10월 18일 무역협회가 주최하는 ‘바이오산업 국제 심포지엄’에 함께 참석하고, 다음날 19일 황 교수가 추진중인 세계줄기세포은행 개소식을 추진중이어서 국제 연구가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황 교수는 세계적 저널 ‘사이언스’에 2004년에 이어 2005년 인간배아복제 줄기세포 연구성과를 발표한 후 윌머트 박사와는 루게릭 병을, 미국 하버드 대학 더글러스 멜턴 박사와는 당뇨병을. 미국 슬로안 케터링 암센터의 로렌스 스투더 박사와는 알츠하이머병에 대해 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의 공동연구를 제안받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정은 기자(jewee@medifonews.com)
2005-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