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책은 정권이 바뀌는 것 밖에 없다”
최근 계속되는 약가인하로 고충을 겪고 있는 제약업계 관계자의 입에서 나온 말이다.
이미 이번 달 들어서만 리베이트 약가인하 연동제 첫 시행, 기등재약목록정비 결과가 발표 된데 이어 조만간 보건의료미래위원회에서도 약가인하가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국내 제약업계는 사상 최대의 부진을 겪는데 더해, 꼬리에 꼬리를 무는 약가인하 정책이 이어지며 미래가 불투명한 상황이다.
리베이트 약가인하 연동제 첫 시행
리베이트 약가인하 연동제를 처음 적용받게 되는 7개 제약사 131품목 가운데 32.8%인 43개 품목이 20% 인하 상한선에 걸릴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해당 업체의 적극적인 소명이 없다면 실적에 미치는 영향이 예상보다 클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국내 250개가 넘는 완제의약품 업체 중 대부분이 제네릭 위주의 영업을 하고 있기 때문에 국내사의 손실이 클 수밖에 없다. 더구나 리베이트 약가인하 연동이 이제 첫 시행이라는 점에서 제약업계의 미래는 불투명하기만 하다.
이미 증권가에서는 해당 업체의 주가가 동반 하락하는 것은 물론, 제약지수 전체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증권가에 따르면 지난 25일 거래소 의약품 지수는 2010년말 대비 16.7% 하락해 시장 대비 -16.0%의 부진한 주가수익률을 보였다.
기등재약 목록 정비로 인한 약가인하 단행
여기에 보건복지부는 25일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를 거쳐 오는 7월부터 5개 효능군 총 2398개 품목에 대한 약가인하 및 급여 목록 삭제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총 2398개 품목 중 211개 품목은 급여 목록에서 퇴출되며, 664개 품목은 약가인하 될 예정이다. 복지부는 이를 통해 총 2687억원의 건강보험 재정이 절감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목록에 포함된 품목들 가운데 연 실적 100억원을 넘는 대형품목은 사노피아벤티스, 오츠카제약, MSD, 머크 정도를 제외한 대부분이 국내사 품목이라는 점에서 국내제약사들이 입게 될 손실이 적지만은 않은 현실이다.
보건의료미래위원회, 제네릭 약가 인하 논의
여기에 보건의료미래위원회가 지난 9일 발표한 논의안건에 따르면 대한의사협회가 건의한 ‘복제약 약가 인하’ 방안이 포함됐다. 그간 의협을 비롯한 의료계에서는 건강보험 재정 악화를 해결하기 위해 제네릭 약가 인하에 대한 주장을 지속적으로 제기해 왔다.
이 같은 정부의 움직임까지 포착되자 제약업계는 고민에 빠졌다. 리베이트 조사로 인한 영업위축 등의 영향으로 전반적인 매출하락세에 있기 때문.
국내 업체의 4월 원외처방 조제액은 전년 동월 대비 1.7% 감소해 집계 이래 가장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 국내 30위 미만 영세 업체의 점유율도 2010년 2월 이후 처음으로 전년 동월 대비 감소해 국내 상위 업체뿐만 아니라 영세 업체의 영업도 급속히 위축되는 양상이다.
그야말로 제약업계의 앞날은 ‘줄줄이’ 약가인하만 기다리고 있는 셈이다.
이에 대해 의약품정책연구소 한오석 소장은 “정부의 규제정책은 전세계에서 시행되는 약가억제정책을 동시에 쏟아 붓는 것과 같다”며 “이로 인해 현재 제약시장자체가 겨우 명맥만 유지하기에 급급할 정도”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제약업계의 반응은 더욱 현실적이다. 한 제약사 관계자는 “현재로선 해결책이 없다. 오죽하면 얼마 남지 않은 정권이 바뀌기를 바랄뿐이다”라며 “지금의 정부는 제약산업에서 눈에 보이는 성과를 내기위한 모습이 역력한데, 내놓는 정책만만 봐도 우리는 약점이 있어 따라갈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다른 제약업계 관계자도 “제약업계 분위기상 다들 안으로는 곪고 있으면서도 터뜨리지 못하고 있는데, 이러다간 썩어갈 것”이라며 “협회에서라도 이런 업계 분위기를 제대로 전달할 채널을 확보하는 방안에 대해 신속한 해결책을 내놔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