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2 (목)

  • 구름많음동두천 20.9℃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약준모, “슈퍼판매는 종편채널 먹여 살리기”

“일반약 전환으로 의약품 광고시장 늘리려는 계획” 비난

정부가 일반의약품 슈퍼판매 정책을 강행하는 이면에는 ‘종합편성채널의 생존 수단’이라는 목적이 있다며 약사들이 주장하고 있다.

약사의 미래를 준비하는 모임(이하 약준모)는 18일 “청와대의 요구로 보건복지부가 강행 중인 일반약 약국 외 판매 정책은 조선, 중앙, 동아, 매일경제, 연합뷰스가 추진하고 있는 종합편성채널의 생존을 위함”이라고 주장했다.

약준모에 따르면 이들 매체의 종편채널 선정시기와 잇따른 최시중 방통위원장의 종편과 관련한 전문약품 광고 발언시기가 짧은 기간 집중된 것이 결코 우연이 아니라는 것.

특히 올 초 최시중 방송위원장이 “전문약을 일반약으로 전환해서라도 의약품 광고시장을 키우겠다”고 한 발언이 현실화 되고, 청와대의 질책으로 단 며칠 사이 약사법 개정을 통한 의약품 재분류 단계까지 진행되는 상황을 볼 때 일련의 잘 짜여진 계획이라는 의구심이 든다는 것이다.

약준모가 이같은 주장하는 하는데는 제약업계가 광고 시장으로서 가치가 충분하기 때문이다.

약준모는 “2008년만 해도 상위 24개 제약사의 일반약 광고비만 해도 2,700억원이 넘는다”며 “2010년에는 상위 10개 제약사의 광고비만 해도 1,636억원에 달하고 국내 모든 업체들의 광고 상위 50순위 가운데 4곳을 제약사가 차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종편 채널 1개가 운영되기 위한 비용이 대략 1년에 2,000~3,000억원 정도임을 감안할 때 이러한 제약업계의 광고는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될 수 있다는 것.

약준모는 “현재 유선방송업계가 보유하고 있는 황금채널을 배정받아 그럴듯한 광고로 의약품의 과소비를 조장할 경우 국민들은 그만큼 불필요한 의약품을 소비하게 될 것”이라며 “불필요한 의약품 소비가 많을수록 종편의 생존에 더 유리함을 생각하면 의약품 약국외 판매는 종편업체의 생존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에 불과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