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0 (목)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약제비 차등 적용, 국내제약사 매출증가 ‘찬스’

동아, 한미, LG생명과학 등 국내사 처방률 증가 예상

정부가 고혈압, 당뇨, 감기 등의 질병에 대한 약제비 본인부담률을 차등 적용키로 하면서, 국내제약업계가 가장 큰 수혜를 입을 것으로 보인다.

보건복지부는 올해 10월부터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에서 외래 진료 후 약을 처방했을 때, 환자의 약국 본인부담률이 높아지는 52개의 질병에 대한 약제비 본인부담률을 차등 적용하기로 2일 결정했다.

본인부담률 차등 적용대상에는 인슐린 비의존 당뇨병과 고혈압, 감기관련 질병(감기, 급성 축농증, 인두염, 편도염, 후두염 및, 기관염, 비염 등), 눈물계통의 장애, 소화불량, 두드러기, 골다공증 등의 질병이 포함됐다.

이에 따라 52개 질병에 대해 종합병원이나 상급종합병원 처방전으로 약을 구입할 경우, 약국 본인부담률은 현행 30%에서 각각 40%, 50%로 높아진다.

정부는 의료기관에 따라 약제비 본인부담률을 인상할 경우 건강보험 재정 적자폭이 완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이를 통해 확보한 재원으로 1차 의료기관의 의료수가를 인상할 수 있게 되면서, 리베이트 쌍벌제 역시 빠르게 안정화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특히 건강보험 재정 적자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고령화의 경우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결국은 약가와 같은 통제요인에 대한 정책이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마련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더구나 의약분업 이후 대형종합병원이 성장하면서 1차 의료기관인 동네의원의 입지가 축소됨으로써 확대된 병원과 제약사간 불법 리베이트 역시 근절할 수 있는 근본적인 해법이 될 수 있다는 것.

우리투자증권 김나연 애널리스트는 정부의 이번 정책으로 발생할 수 있는 효과를 크게 두 가지로 설명했다.

김 애널리스트는 “고혈압, 당뇨 등 만성질환을 갖고 있는 종합병원 내원 환자들을 일반 병원으로 분산·유도하게 될 것이며, 1차 의료기관에 대한 매출비중이 높은 국내 제약사의 처방률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2011년 1~5월 기준 국내제약사와 다국적제약사의 1차 병원 처방매출비율을 살펴보면, 국내 상위20개사의 비중이 42.7%, 그 외 국내사 31.0%, 다국적제약사 26.3% 수준이다.

결국 종합병원 내원환자 증가로 가능했던 다국적제약사 매출 증가가 1차병원으로 환자가 분산되면서 국내 제약사 비중이 더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번 정책의 영향으로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되는 업체는 한미약품, LG생명과학, 동아제약 등이 꼽히고 있다.

한미약품의 경우 고혈합복합제인 ‘아모잘탄’의 성장이 기대되며, 동아제약은 위장관운동촉진제 ‘모티리톤’, LG생명과학은 내년 하반기 출시 될 당뇨치료신약 등의 품목 매출 증가가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