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적인 위식도 역류질환의 치료에 있어 넥시움을 통한 장기 약물치료가 복강경수술과 효과가 동등하며 후유증은 수술요법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공동연구팀이 11개국의 위식도 역류질환 환자 554명을 대상으로 5년 간 넥시움 약물치료와 수술치료의 효과를 평가하는 무작위 비교임상을 진행한 결과, 복강경 항역류수술군의 치료효과가 85%인 반면 넥시움 복용군의 치료효과는 92%로 조사됐다.
이번 임상시험 연구결과는 올 5월 미국의약협회지(JAMA)에 게재됐다.
위식도 역류질환의 주요 증상인 속쓰림과 상복부 통증을 경험한 환자의 비율은 두 그룹이 동등했으며, 연하곤란은 넥시움 복용군의 5%, 수술 치료군의 11%가 증상을 겪었다.
복부팽만증은 넥시움 복용군의 28%, 수술치료군의 40%, 가스가 차는 증상은 넥시움 복용군의 40%, 수술치료군의 57%가 경험했다.
한국아스트라제네카에 따르면 임상시험 결과, 넥시움을 복용한 환자들이 복강경수술을 받은 환자보다 연하곤란, 복부팽만감, 가스가 차는 증상 등의 제반 증상을 느끼는 비율이 낮은 것으로 측정됐다.
이밖에도 치료로 인한 부작용 위험 역시 수술치료군과 넥시움 복용군이 비슷한 수준으로 드러났다.
심각한 부작용 위험의 경우 수술치료군은 28.6% 5년간 넥시움을 복용한 군은 24.1%이며, 양측 모두 내시경 검사를 통해 식도 변형이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아스트라제네카 의학부 이채성 이사는 “이번 임상시험은 위식도 역류질환 치료에 있어 PPI제제가 수술요법대비 비슷한 정도의 치료 효과와 안전성을 가진다는 것을 보인 것에 의의가 있다”며 “장기적 약물치료가 필요한 위식도 역류질환 환자들에게 넥시움이 최적의 치료와 삶의 질이라는 두 가지 혜택을 제공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PPI제제인 넥시움은 지난 2000년 10월 국내 승인됐으며, 미란성 식도염, 위식도 역류 질환의 치료 및 유지 요법에 사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