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0 (목)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제약산업 황폐화 시켜놓고 글로벌화를 기대?

제약업계 “신약개발 허울좋은 명분…개발포기 상황”

정부의 약가인하 정책에 대해 제약업계는 망연자실을 넘어 정부에 대한 분노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약가제도 개편 및 제약산업 선진화’ 방안을 통해 리베이트를 근본적으로 해결함은 물론, 제약산업의 구조가 R&D중심으로 개편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업계 관계자들은 이번 정책에 대해 오히려 신약개발 의지를 꺾고 있다는 주장이다.

제약협회 관계자는 “2조원 가량의 추가적 일괄 약가인하 충격은 제약업계가 R&D 투자비와 광고·홍보비를 전액 삭감하고 인건비를 절반으로 줄여도 상쇄할 수 없는 금액”이라며 “적정이윤의 확보와 이익의 재투자로 이어지는 정상적 기업 활동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신약개발의 동기부여는 약화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결국 ‘제약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는 정부가 약가인하 정책을 시행하기 위해 내세운 ‘허울 좋은 명분’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

한 중견제약사 관계자는 “약값이 줄어든다는 뉴스를 본 국민들은 부담이 줄어들 것이라고 좋아할지 모르지만, 약가인하로 인한 피해는 국민들에게 고스란히 돌아가게 돼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제약사들은 지금 이중삼중의 약가인하로 수익내기가 점점 힘들어지는 상황이기 때문에 신약개발을 포기하는 사태가 이어질 것이다. 결국 환자의 신약 접근성이 떨어질 것이고, 개발포기로 인해 국산약보다 외국약의 마켓쉐어가 커지면서 국내 제약산업은 황폐화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특히 불과 2~3년만에 급진적으로 추진되는 약가인하 정책과는 달리 정부가 명분으로 내세운 제약산업 선진화 방안의 경우 ‘혁신형 제약기업의 선정과 집중적인 지원체계 구축’과 같은 장기적인 지원책이라는 점 역시 제약업계를 불안하게 하는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이에 따라 제약협회는 정부가 약가인하 정책을 중단하지 않을 경우, 법적 대응을 불사하겠다는 입장이다.

제약업계 관계자들 역시 협회차원에서 회원사들의 단합된 목소리를 지속적으로 전달해야 한다는데 뜻을 같이 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피켓시위와 같은 집단행동이 단순히 일회성 이벤트로 끝나선 안 된다”며 “막지 못하면 다 같이 죽는다는 각오로 적극적인 행동에 나서야 한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정부의 약가인하 정책에 맞서 제약업계가 향후 어떻게 대응해 나갈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