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1 (목)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최신연구진전

조기분만 시 태아안전은 임신 35주 이후

신종철 교수팀, 조산아 합병증 최소화 임신 주수 밝혀


우리나라 여성들이 조기분만을 하는 경우, 임신 35주 이후에 이뤄질 때 태아가 가장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종철(서울성모병원)ㆍ위지선(여의도성모병원)교수팀은 10일, “우리나라에서 조산아들에게 합병증을 최소화하는 임신주수는 35주”라며 “이는 미국산부인과학회(ACOG)에서 권고한 임신 34주보다 1주가 더 늦은 임신 주수”라고 연구결과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지난 1995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서울성모병원에서 분만한 환자 중 조기분만으로 출생한 신생아와 산모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신종철 교수팀에 따르면 조사결과, 단태아는 임신 35주, 다태아는 임신 33주 이후에서 미숙아에게 발생하는 사망, 호흡곤란, 뇌출혈, 인공호흡, 폐혈증 등 주요 합병증의 발생이 의미있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출생 후 1분, 5분에 각각 측정해 신생아 상태를 점수로 나타내는 아프가점수(Apgar score)도 단태아는 임신 35주, 다태아는 임신 33주 이후가 높았다.

현재 적절한 조기분만 임신주수는 미국산부인과학회(ACOG)의 권고와 같은 34주 이후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여성의 경우 1주가 더 늦은 35주 이후가 신생아의 사망과 주요 합병증 발병이 줄어드는 기간으로 확인된 것.

신종철 교수는 “조기분만에는 불가피하게 자연적인 조기분만도 있지만 태아나 산모의 질환 등으로 의료진이 조기분만을 결정하는 경우도 많다”며 “따라서 이러한 결정 시 조산아 합병증 발생이 최소화되는 임신 주수를 밝히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일본산부인과학회에서 발행하는 학술지인 '산부인과학학술저널(The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research)' 6월호에 소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