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피건선은 극심한 가려움증과 수시로 떨어지는 은회색의 각질들로 인해 환자들이 받는 정신적 스트레스가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질환이다.
특히 사회활동이 왕성하고 외모에 민감한 10~30대 젊은 층에서 많이 나타나 심리적 위축, 대인기피, 자신감 부족 등의 문제를 유발시킬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피건선에 대한 인지도는 현저히 낮았다.
다국적 제약회사 레오파마가 최근 20~40대 두피건선 환자 80명(남녀 각각 40명)을 대상으로 두피질환 인식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최초 증상 발현 시 단순비듬이나 건조증, 아토피 등 타 질환과 혼동해 본인의 질환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는 두피건선 환자가 10명 중 9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두피건선 질환의 심각성을 인지하는 지에 대한 질문에 응답자의 28%만이 심각한 질환이라고 답했으며, 기능성 헤어용품, 두피의 청결유지 등을 통해 비교적 쉽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는 응답도 62%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 됐다.
이처럼 질환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매우 낮은 수준으로 확인돼 증상 및 질환에 대한 환자의 올바른 이해가 시급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 같은 낮은 인지도는 곧 환자들의 소홀한 치료 및 관리로 이어진다.
두피건선 환자 중 47%는 한 차례도 병원을 방문한 경험이 없었으며, 병원의 방문한 경험이 있는 환자의 경우도 최초 증상 발견 후 병원방문까지 평균 4.3개월(남성은 1.8개월, 여성은 6.2개월)이 소요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뿐만 아니라 환자의 52%는 두피건선의 초기 증상 발견 시 비듬용 기능성 샴푸나 헤어 트리트먼트 용품을 먼저 찾았으며, ‘머리를 자주 감는다’(11%)거나 ‘보습제품을 바른다’(6%) 등 자가 치료법을 택하는 경우가 많았다.
응답자의 과반수(56%) 이상은 잘못된 대체치료법 선택으로 인해 두피건선 증상이 상당부분 진행 된 이후에야 병원을 방문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 과정에서 증상 악화와 시간적‧비용적 낭비가 빈번히 일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레오파마 관계자는 “두피건선은 자가면역 이상이나 유전적 환경적 요인 등으로 인해 두피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증식하는 질환으로 단순 비듬이나 건조증과는 다른 질환”이라며 “한번 생긴 두피건선은 쉽게 낫지 않고 재발이 잦은 편이지만, 당뇨병이나 고혈압처럼 정확한 진단과 지속적인 치료를 통해 관리한다면 증상 완화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두피건선 질환은 다른 신체 부위 건선과 마찬가지로 질환의 중증도, 병변의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치료가능 하다. 특히 최근에는 신속하고 우수한 효과와 안전성을 겸비한 젤 타입의 치료제가 출시돼 만성 두피건선 환자들도 장기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