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노조(위원장 유지현)는 25일 보건복지부 청사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공공병원의 역할을 축소시키고 수익성 위주의 운영평가를 부추기는 정부를 규탄했다.
뜨거운 폭염속에 진행된 이날 기자회견에서 보건의료노조 임원들과각 지방의료원 및 적십자병원 지부장들은 한목소리로 “정부가 노조측의 요구를 무시한채 수익성을 잣대로 지방의료원 및 적십자병원 경영을 평가하고 진단한 결과를 내놓아 공공의료를 강화해야 할 의무를 져버리고 있다”고 규탄했다.
먼저 보건의료노조 최권종 부위원장은 “이명박 정부가 의료민영화를 실현하기 위해 의료의 공공성을 훼손시키고 있기 때문에 이같은 행태를 더 이상 보고만 있을 수 없어 오늘 행사를 기획했다”며 기자회견의 취지를 설명했다.
또 전락희 홍성의료원 지부장은 “지방의료원에 대해 응급실까지 수익실적을 기준으로 성과를 판단해 폐쇄하겠다고 협박하는 복지부의 지나친 수익성 위주정책 때문에 의료의 공공성이 침해당하고 있다”고 전하며 “의사나 간호사 등 의료인력수급조차 쉽지 않은 지방의료원이 푸대접당하는 현실에 분노하며 수익성 때문에 공공의무책임을 다하지 않으려는 정부에 끝까지 투쟁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서 박윤희 의정부의료원 지부장은 “정부가 회계장부를 들이대며 지방의료원들에게 수익성을 높이라고 윽발 질러 병원들이 결국 열악한 환경에 놓이게 됐다”며 “부족한 의료공백을 메우려고 병원의 노동자들이 휴가를 반납하고 무급으로 주말근무를 하는 현실로 노동자들의 삶의 질마저 저하되고 있다”고 성토했다. 또 “의정부 지역은 특히 사회취약계층들이 많이 모여사는 지역인데 어떻게 정부가 이럴수가 있느냐”며 울분을 토하며 “복지부는 현실을 무시하는 탁상행정을 그만둬라”고 말했다.
적십자병원 문제와 관련해서 강권철 보건의료노조 부위원장은 며칠전 박원순 서울시장이 복지예산을 늘리겠다고 발언한 것과 관련해 “과연 서울시 혼자 할 수 있는 일인가”라고 반문하며 “결국 정부의 도움이 없이는 불가능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적십자병원은 공공의료기관인데 현재 공공의무를 다하지 못하고 있으며 수익창출강화를 강요하는 정부에 휘둘리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