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부인과계가 복지부가 발표한 ‘의약품 재분류’ 결과에 대해 “응급피임약 전문의약품 유지는 환영하지만 사전피임약에 대해서는 아쉬움이 남는다”라는 입장을 표명했다.
대한산부인과학회(이사장 김선행)와 대한산부인과의사회(회장 박노준)는 지난 29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의약품 재분류 결과에 대해 “오남용의 우려가 있는 응급피임약이 전문약으로 유지되는 것”은 당연한 조치라고 말하는 한편 그러나 “사전경구피임약이 일반의약품으로 남아 있게 된 것에 대해서는 여성 건강을 생각하는 산부인과 의사의 입장에서는 매우 아쉬운 조치”라는 내용의 성명서를 발표했다.
산부인과계 성명내용에 따르면 응급피임약은 고용량의 호르몬이 함유되어 있고 투약에 신중해야 하는 만큼 전문의의 상담과 이에 따른 처방이 필수적인 약품이다.
따라서 “그런 측면에서 응급피임약이 전문의약품으로 분류된 것은 매우 당연한 조치라고 생각되며, 대한산부인과학회와 대한산부인과의사회는 응급피임약의 오남용을 막고 철저한 상담과 검진을 통해 올바른 피임법과 낙태 예방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할 것을 밝힌다”고 말했다.
그러나 사전경구피임약이 이번에 일반의약품으로 분류된 것에 대해서는 우려를 표시했다. 산부인과계에 따르면 “사전경구피임약은 장기간 복용하는 복합 호르몬제로 혈전증 등 여러 부작용 보고가 나오고 있고, 지금도 제대로 안전 관리가 되지 않고 있는데 예전과 같이 일반의약품으로 분류되어 쉽게 판매된다면 국민 건강의 안전성 측면에서 큰 손실이 될 것이다”라는 것.
이와같이 산부인과계는 사전피임약 일반약 분류에 대한 우려를 표시하면서도 차후에는 전문의약품으로 전환될 것이라는 기대를 나타내기도 했다.
성명서는 “이번에 발표된 내용 중 3년간의 부작용 집중 모니터링이 포함된 만큼, 제대로 된 사전피임약 부작용 모니터링이 진행되어 전문의약품으로 전환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 “피임약 복용시 전문 진료를 권유하는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여성가족부, 교육과학기술부 등 관계부처가 지속적인 협조체제를 갖추어 다양한 피임 문화 개선사업을 추진하기로 한 것에 대해서는 크게 환영하다”는 입장을 전했다.
이어서 “산부인과 의사들 역시 전문가적 입장에서 모든 노력을 다해 올바른 피임문화 정착과 이를 통한 준비된 계획 임신으로 건강한 임신과 출산 환경 조성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다”라며 성명을 마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