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미만에서 알코올성 정신장애가 늘고 있어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해 보인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최근 5년간(2007~2011년) ‘알코올성 정신장애(F10)’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2007년 6만6196명에서 2011년 7만8357명으로 1만2161명이 늘어 연평균 4.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2007년 5만3767명에서 2011년 6만3859명으로 연평균 4.4%로 증가하였고, 여성은 2007년 1만2429명에서 2011년 1만4498명으로 연평균 3.9% 증가하여 남성의 증가율이 여성보다 높았다.
알코올성 정신장애 진료인원은 2011년 기준 남성이 여성보다 4.4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을 살펴보면, 남성은 2007년 223명에서 2011년 257명으로, 여성은 2007년 52명에서 2011년 59명으로 모두 1.2배 가량 증가하였다.
2011년을 기준으로 인구 10만명당 진료를 받은 인원은 50대(316명)-60대(310명)-40대(239명) 순으로 나타났는데 남성의 경우는 60대(583명)-50대(545명)-70대(473명), 여성은 40대(97명)-50대(87명)-30대(78명)의 순이었다.
2007년 대비 2011년 증가율(인구 10만명당)을 살펴보면 20대 미만에서 증가폭이 두드러졌고, 30대 남성에서는 소폭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코올성 정신장애로 인한 총진료비는 2007년 1190억원에서 2011년 1905억원으로 연평균 12.5% 증가하였는데 남성의 경우에는 연평균 12.8%, 여성의 경우에는 연평균 10.0% 증가하였다. 또 2011년 기준 남성의 진료비는 여성에 비해 8.9배 많았다.
최근 5년간 ‘알코올성 정신장애’ 환자 1인당 평균 진료비를 살펴보면 2007년 179만8천원에서 2011년 243만1천원으로 약 1.4배 증가하였고, 남성의 진료비는 여성보다 약 2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을 기준으로 환자 1인당 진료비를 살펴보면 남성은 인구 10만명당 50대와 60대의 진료환자수가 많았으나 환자 1인당 평균진료비는 60대(354만4천원), 70대(351만9천원) 순으로 많았고, 여성의 경우 인구 10만명당 40대, 50대 진료환자수가 많았으나, 환자 1인당 평균 진료비는 70대(230만원), 60대(196만8천원)가 많았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병욱 교수는 만성적 음주로 인해 기억장애, 정신장애, 기분장애, 불안장애 등이 생기는 것이므로 수십 년 음주를 해 온 60대에서 젊은 층보다 더 많이 나타나며, 알코올 사용장애의 경우 사회 경제적 활동을 하지 않게 되고 노년기의 정신적 위기를 맞게 되는 60대에 취약하다고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알코올성 정신장애는 과도한 양의 알코올을 섭취하여 내성이나 의존이 생기는 ‘알코올 사용장애’와 알코올로 인하여 인지기능이나 기분, 수면, 정신병적 증상 등이 생기는 ‘알코올 유도성 정신장애‘를 말한다. ‘알코올 사용장애’는 알코올 의존, 알코올 남용이 있으며, ‘알코올 유도성 정신장애는 알코올 금단, 알코올 금단 섬망, 알코올 유도성 기억장애, 알코올 유도성 치매, 망상이나 환각을 동반한 알코올 유도성 정신장애, 알코올 유도성 기분 장애, 알코올 유도성 불안장애, 알코올 유도성 수면장애 등이 있다.